정기구독신청
기사목록(298건)
기획 특집
장하고 귀한 손의 도시, 전주
그 공방엔 예술가가 있다, 한국전통문화전당 공방
청와대가 사랑한 디자인 소품 리아 라인 패턴 디자이너인 최은희 작가의 작 업실이다. 특히 청와대 사랑채에도 입점했던 한지 노트는 자연, 생명의 어우러짐이 돋보인다. 현재는 패턴 디자인 콘텐츠와 전통을 재해석한 문화 상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문의 | 010-3115-6897 글자로 그리는 그림? 깜장글씨 서재적 손멋글씨 작가가 한글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는 작업을 하는 곳이다. 브랜드 명, 드라마 타이 틀도 쓰고, 소품도 만드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글 의 아름다움을 전하고 있다. 문의 | 063-232-2272 여권이 한복을 입다? 스토리비즈 ‘스토리비즈’는 한복 여권 케이스와 카드 지갑 등을 만드는 디자인 공방이다. 한복은 입는 것 이라는 편견을 깬 점이 돋보인다. 현재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인사동 한국관광명품점 등에 입점해 있다. 문의 | 063-714-3306 예술가 부부의 염색 공방 네이쳐:휴 오재경, 임하린 작가 부부가 운영하는 천연 염색 공방인 ‘네이쳐: 휴(休.)’. 이곳에서는 직접 재배한 쪽, 홍화, 메리골드 등에서 천연 염색 컬러를 뽑아낸다. 주로 컵받침, 테이 블 매트 등 생활 소품을 제작한다. 문의 | 010-5114-3781 한지공예가 작업실 마음소풍 아트플랜 ‘마음소풍 아트플랜’은 김승연 한지공예 작가의 작업실이다. 줌치한지는 여러 겹 의 한지를 물에 넣어 붙인 후 치대서 만든 것을 말하는데, 작가는 이 줌치한지로 카메라, 그릇 등 일상 속 소재를 표현 한다. 문의 | 010-2804-8325 나무와 한지로 만든 전등 금홍공예 ‘금홍공예’는 버려진 나무와 천연 닥 나무 껍질로 등을 만드는 공방이다. 나 무의 뿌리와 가지를 몸체로 활용하기에 똑같은 모양이 없는 나만의 등을 만들 수 있다. 문의 | 063-232-3656 세계가 반한 한지 민속인형 예담공예 ‘예담공예’는 한지로 전통상품을 제작하 는 공방이다. 한지를 소재로 청사초롱, 민 속인형 스탠드 등의 기념품을 제작하고 있다. 상품 제작뿐만 아니라 외국인을 대상 으로 한 체험도 진행한다 . 문의 | 010-9697-7889 손바느질로 한 땀 한 땀 욱샘작업실 ‘욱샘작업실’은 패브릭 작가 조 양선 씨의 바느질 공방이다. 이곳 의 대표 상품 나들백은 한글과 한옥마을 지도를 패턴화해 만들었다. 다양한 패브릭 만들기 제품 체험도 가능하다. 문의 | 010-6212-3865 민화의 멋 담긴 생활용품 조주연 한문화연구소 한국화, 민화를 활용한 제품들을 만드는 ‘조주연 한문화연구소’. 민화를 그려서 천 포스터, 식탁 러너 등을 제작한다. 단청 을 활용한 교육 상품인 체험 조립용품 세트도 개발하고 있다. 문의 | 010-6671-3782 칠보공예의 매력 바람소리 조형연구소 ‘바람소리 조형연구소’는 칠보공예 공방이다. 칠 보는 보석과도 다름없다는 김귀복 대표의 말처럼 공방을 채운 제품들은 저마다의 예쁨을 뽐내 고 있다. 간단한 칠보공예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한다.문의 | 063-232-3372 세상에 하나뿐인 가죽 제품 제이민 ‘제이민’은 철저히 체험자 중심으로 운영되는 가죽공예 공방이다. 키홀더부터 지갑, 가방 등 가죽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제 품을 만든다. 체험자가 원하는 제품을 만든다 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문의 | 010-3428-3333
2020.11.09
#공예
#공방
#염색
#디자인
#바느질
무엇이든 뚝딱! 상상과 실험․창작의 공간, 리빙콘텐츠DIT센터
새로 문을 연 리빙콘텐츠DIT센터누구나 한 번쯤 생활 속에서 불편을 느꼈을 때 ‘혹시 이런 상품 없나?’ 하고 아쉬워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가진 건 오직 아이디어뿐이어서, 나중에 비슷한 제품이 나오면 무릎을 탁 치며 ‘이거 나도 생각했던 건데…’라며 안타까워했던 경험. 하지만 이제는 그런 아쉬움을 덜어 줄 공간이 생겼다. 바로 전주 메이커스페이스 리빙콘텐츠DIT센터가 지난 1월 11일 문을 열었기 때문이다. 한국전통문화전당 한지산업지원센터 2층에 자리한 ‘리빙콘텐츠DIT센터’는 아이디어가 있는 사람 누구나 자유롭게 방문해 시제품을 만들어볼 수 있도록 3차원(3D) 프린터, 설계 소프트웨어, 용접기구 등을 구비한 공간이다. 발명가, 예술가, 기술자를 비롯해 취미로 무언가를 만드는 사람을 통칭하는 말인 ‘메이커’들이 서로 아이디어를 나누고 교류하자는 의미에서 ‘Do It Together(함께하기)’의 약자를 딴 ‘DIT’센터가 되었다. 다양한 장비 갖춘 아이디어 실험장‘리빙콘텐츠DIT센터’는 중소기업벤처부가 추진한 ‘2018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운영・공모 사업에 선정돼 예산을 확보, 공간을 조성했다. ‘리빙콘텐츠’와 ‘DIT(Do IT Together)’라는 센터의 이름부터 공간 구성에 이르기까지, ‘생활용품’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공유와 협업을 통해 시민들에게 다가가려는 노력이 엿보인다.DIT센터는 메이커 소재・장비 교육을 진행하는 ‘교육실’, 자유 제작과 체험・실습 공간인 ‘창의공작실’, 모형을 제작하는 ‘목업실’, 자유로운 회의 및 컨설팅과 교류를 위한 ‘커뮤니티실’과 ‘라이프 리빙실’, 창작 소품 기획 및 전시 공간인 ‘멀티스페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장비 역시 3차원(3D) 프린팅 시제품을 제작하는 3차원(3D) 프린터와 레이저 가공기, 목업 장비, 재봉틀, 용접기구, 손공구 등 다양한 장비를 갖추고 있어 생활 속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현실 속에서 창작해볼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열린 창작 공간‘리빙콘텐츠DIT센터’는 기존 공간들과 차별화된 메이커 스페이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전문가들만의 공간이 아니라 시민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창작 공간으로 거듭나겠다는 것이다. 더불어 공간 운영 외에도 지역 자원과 연계하여 한지, 목공 등 전통 소재와 전통문화를 활용한 전주만의 차별화된 공동 작업 플랫폼을 조성하려 한다. 이 외에도 상시 프로그램으로 자유 제작과 체험, 장비나 소재 융합 또는 메이커들을 위한 정기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기업 연계 상품 기획 등 프로모션까지 구성하고 있어 메이커 스페이스를 기반으로 향후 창업 인프라까지 구축해 나갈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김선태 한국전통문화전당 원장은 “DIT센터가 지식정보 공유 플랫폼으로서 수준 높은 메이커 문화를 전달하고, 지역 메이커들이 전주를 넘어 대한민국 대표 메이커로 성장하는 데 발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새로 문을 연 ‘리빙콘텐츠DIT센터’가 디지털 시대 전주 시민 메이커들의 자유로운 창작과 교류의 공간으로 자리 잡길 기대해 본다. 리빙콘텐츠DIT센터, 어떻게 이용해야 할까?한국전통문화전당 내 ‘리빙콘텐츠DIT센터’는 전주 시민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평일에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토요일은 오후 5시까지 이용 가능하다. 공간은 유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한 장비는 안전 교육과 장비 기초 교육 이후 사용이 가능하다. DIT센터에서는 2월까지 시범 운영 기간을 거쳐 3월부터 본격 운영된다. 시범 운영 기간인 2월에는 월․수․금 오전과 오후로 나눠 장비 교육이 진행된다. 둘째 주 오전에 목업장비 교육, 오후에는 레이저가공기 교육이 진행된다. 또 셋째 주 오전에는 재봉틀․오버로크 교육과 오후에는 목업장비 교육이 진행된다. 넷째 주에는 수공구 교육이 진행된다. 운영시간 | 월~금 10:00~20:00, 토 10:00~17:00(일요일 휴무)주소 | 전주시 완산구 현무1길 20 한지산업지원센터 2층 홈페이지 | www.ditcenter.co.kr 문의 | 063-281-1559
#아이디어
#창작
#리빙
구석구석 한옥마을 체험 여행
전주라서 더 특별한 한지 공예 예부터 이름났던 한지의 주 생산지인 전주는 한지 관련 상품과 문화유산이 풍부하다. 한지 뜨기, 한지 인형 만들기, 한지로 부채 만들기 체험 등이 진행된다. ① 전주전통한지원 l 한지 뜨기, 한지 공예 ₩ 7,000원~ ☎ 010-8959-7757 ② 연아뜰리에 l 한지 부채, 고무신 민화체험 ₩ 10,000원~ ☎ 010-3670-9430 ③ 박금숙 닥종이인형 l 3D프린팅, 한지인형 ₩ 10,000원~ ☎ 063-232-3050 ④ 꽃숙이 l 한지 거울, 팔찌 ₩ 10,000원~ ☎ 063-282-7074 ⑤ 전주부채문화관 l 나만의 부채 만들기 ₩ 7,000원~ ☎ 063-231-1174~5 ⑥ 행복한공예방 l 한지 공예 ₩ 8,000원~ ☎ 063-288-8807 ⑦ 부채박물관 l 부채 만들기 ₩ 10,000원~ ☎ 063-231-8527 전주의 손맛을 배우는 음식 체험 명인과 함께하는 김치체험, 막걸리・청주・모주 등 다양한 술을 빚으며 음주 예절을 배우는 전통주 체험. 그 밖에도 전주 음식의 맛과 정성을 배울 수 있는 체험이 가득하다. ⑧ 전주전통술박물관 l 술 빚기, 모주 거르기 ₩ 5,000원~ ☎ 070-4941-5678 ⑨ 전주김치문화관 l 김치 만들기 ₩ 8,000원~ ☎ 063-287-6300 ⑩ 전주초코파이체험장 l 초코파이 만들기 ₩ 15,000원~ ☎ 063-287-1575 ⑪ 김명옥김치전통음식체험장 l 김치 담그기 ₩ 10,000원 ☎ 063-244-9232 ⑫ 라이스소리 l 떡 공예 ₩ 10,000원~ ☎ 010-4945-5592 ⑬ 청을전통문화원 l 비빔밥, 다도체험 ₩ 7,000원~ ☎ 063-232-6679 직접 배우고 체험하는 실속 만점 생활 공예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공예품을 직접 배우고 익힐 수 있는 체험도 다채롭다. 특히 석고방향제나 캔들 만들기 등 은 가까운 지인에게 선물하기에도 그만이다. ⑭ 라임토리 l 클레이, 석고방향제 ₩ 5,000원~ ☎ 010-9204-0826 ⑮ G.HANDS l 미니어처, 꽃신 만들기 ₩ 8,000원 ☎ 010-9791-8566 ⑯ 솜씨당 l 은공예, 매듭 팔찌, 주석잔 체험 ₩ 30,000원~ ☎ 070-5022-4413 ⑰ 수제, 각 l 수제 돌 도장 만들기 ₩ 20,000원~ ☎ 010-9881-1310 ⑱ 여우향기 l 향수 만들기 ₩ 15,000원~ ☎ 063-224-9655 ⑲ 보리수자수 숙박 l 찻잔 받침, 매트, 손수건 ₩ 10,000원~ ☎ 010-5797-3117 ⑳ 한옥애향기 l 캔들 만들기 ₩ 15,000원~ ☎ 010-9465-1484 ㉑ 꼴 l 가죽공예, 이니셜 팔찌, 열쇠고리 ₩ 10,000원~ ☎ 010-6424-1028 ㉒ 온누리공예방 l 매듭 공예 ₩ 5,000원~ ☎ 010-3999-7720 ㉓ 보물단지 l 한복향주머니, 팔찌 만들기 ₩ 5,000원~ ☎ 010-9744-1912 나만의 작품을 소장할 수 있는 도자기·압화 공예 가족이나 연인과 함께 흙이나 꽃을 만지며 잠깐의 여유를 누릴 수 있는 체험들도 있다. 나만의 아이디어와 감성이 담긴 도자기나 압화 작품을 추억과 함께 소장해 보자. ㉔ 들꽃마을 l 힐링 원예 체험 ₩ 10,000원~ ☎ 010-2478-3058 ㉕ 도꼼 l 도자기 체험, 핸드페인팅 ₩ 12,000원~ ☎ 063-221-1222 ㉖ 소나무공방 l 도자기 체험 ₩ 15,000원~ ☎ 010-3009-4202 ㉗ 향교길도자기 l 체험관 생활 도자기 체험 ₩ 11,000원~ ☎ 010-9656-3696 ㉘ 온고을공예방 l 압화 공예 ₩ 10,000원~ ☎ 010-9977-1617
#한지
#모주
#압화
#도자기
설 선물, 뭐가 좋을까?
바이전주 상품으로 마음을 나눠요~
부드럽고 알싸한 전통주 전주이강주 ‘이강주 5호’좋은 날, 좋은 술 한 잔. 조선시대 3대 명주 중 하나인 전주이강주는 청와대 명절 선물로 사용될 정도로 우리나라 대표 전통주다. 좋은 재료를 넣고 오랜 시간 정성으로 담근 술이니 귀한 지인에게 선물하기 좋다.문의 | 063-212-5765가격 | 이강주 5호 500ml 25,000원 우리 아이 꿀잠 친구 나비스 ‘향기 이불’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왠지 좋은 꿈을 꿀 것만 같은 건강한 이불을 선물해 주는 건 어떨까? 폭신폭신한 감촉에 향기까지 더해진다면 한마디로 꿀잠 예약. ‘나비스’ 향기 이불 아로마슬립은 마이크로캡슐 솜을 넣어 항균, 방취, 방충 기능을 더했다.문의 | 063-275-9533가격 | 아기이불세트 130*150 80,000원대 구수하게 즐기는 건강 한 알함씨네 마늘청국장환알싸한 마늘과 구수한 청국장이 만나 건강한 환이 탄생했다. ‘함씨네’ 마늘청국장환은 건강에 좋은 청국장과 마늘을 환으로 만들어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제품이다. 메주콩 대신 쥐눈이콩을 넣은 쥐눈이콩마늘청국환과 구수한 찌개 청국장도 선물로 추천한다.문의 | 063-211-7955가격 | 마늘청국장환 300g 50,500원, 쥐눈이콩청국장환 300g 65,000원, 토종찌개청국장 200g 5,000원 재료 맛 살린 건강한 김치맛 디자인 ‘김치 세트’김치도 사 먹는 시대다. 캠핑 갈 때, 여행 갈 때 간편하게 챙겨 갈 수 있는 김치는 빼놓을 수 없는 준비물이다. 맛디자인 김치는 100% 국내산 재료를 사용하고 화학조미료, 방부제, 색소 없는 건강한 김치다.문의 | 063-232-7017가격 | 김치 4종 세트(백김치 800g 청김치 800g 맛김치 800g 깍두기 800g) 44,000원 건강하게 마시는 우리 차디자인농부 ‘차 세트’새해엔 커피보다 우리 차를 마시는 건 어떨까? 고소하고 은은한 향에 몸은 물론 마음까지 편안해지는 기분이 들 것이다. 문의 | 063-542-5328 가격 | 팥차&콩차 세트 20,000원 황금돼지띠 아이 축하 선물성실섬유‘출산 준비물 세트’새해 황금돼지띠 아이를 출산하는 이에게 ‘성실섬유’ 출산준비물 세트를 선물해 보자. 친환경 소재인 한지섬유로 만든 배냇저고리, 싸개, 턱받이와 모자까지 완벽한 출산준비물로 구성돼 있다. 문의 | 063-272-0763 가격 | 한지 출산 준비물 세트 100,000원 전북에서 생산한 귀하디귀한 나물자연애 ‘나물’명절 차례 상에 꼭 올려야 하는 음식이 있다면 바로 나물. 우리 지역에서 직접 재배하거나 야산에서 채취한 나물을 선물해 보자.문의 | 063-284-1230 가격 | 삶은 고사리 1kg 26,400원, 채도라지 1kg 26,400원 흑마늘과 오리의 맛있는 만남두메산골 ‘오리고기’맛있게 먹으면서 건강까지 생각한다면 오리고기가 선물로 제격이다. 오리고기는 다른 육류보다 칼로리는 낮고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하다. 문의 | 063-211-6684 가격 | 두메산골종합선물세트 1호 23,500원, 2호 29,400원, 3호 42,500원, 4호 52,400원 편안하고 따듯한 아이 속옷프랜스링 ‘실내복’겨울철 아이들의 필수품은 바로 속옷이다. ‘프랜스링’ 실내복은 100% 무형광 원단으로, 믿고 선물할 수 있다. 보온성과 신축성이 좋아 아이들이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고, 두껍지 않아 외출할 때 겉옷 안에 껴입기도 좋다. 문의 | 063-276-1016가격 | 닥스 9부 30수 후라이스 25,000원 건강한 치아 관리 필수품엠아이비 ‘칫솔’건강한 치아를 만드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바른 양치질이다. 바른 양치질에 좋은 칫솔을 쓰는 건 기본. 엠아이비는 국내는 물론 유럽의 안전검사를 통과한 고급 칫솔이다. 금과 숯 성분을 포함한 항균 칫솔로 치아가 튼튼한 한 해를 선물하자. 문의 | 063-214-0217가격 | 어린이 칫솔 1,300원, 어른용 칫솔 1,300원~1,500원
2020.11.04
#설날
#덕담
#지역상품
#전통주
#김치
이 가게 가게
장터에서 만난 일흔 살의 한복집
3대를 잇는 남부시장 깨배기 주단
인조 비단 세필로 문을 연 남도상회 한국전쟁 직후인 1948년, 깨배기 주단을 창업한 고 주복 순 여사는 손수 염색한 인조 비단 세필로 노상에서 장사 를 시작했다. 어려웠던 당시에 인조 비단은 최고의 인기 품목 중 하나였다. 덕분에 손끝에서 염색 물이 빠지는 날 이 없을 정도였지만 노점은 문전성시를 이뤘다. 주복순 여사와 가족들은 가게 북적이는 재미와 인심 좋은 전주 사람들 덕에 힘든 줄도 모르고 장사를 했다고 한다. 어느 정도 돈이 모이자 남부시장에 자그마한 주단 집을 열었다. ‘깨배기 주단’의 첫 이름은 ‘남도상회’였다. 하지만 주근깨가 많았던 고 주복순 여사에게 친구가 ‘깨배기’라는 별명을 지어 주면서, 손님들한테도 점차 ‘깨배기 집’이라 고 입소문이 났다. 그러다가 아예 주단 집 이름을 ‘깨배기 주단’으로 바꾸었다. 당시 주복순 여사에게 ‘깨배기’라는 별명을 지어 줬던 분은 다름 아닌 이창호 국수(國手)의 할머니. ‘깨배기’는 주근깨가 많았던 주복순 할머니의 외모를 빗댄 별명이기도 했지만, ‘바가지에 깨가 들어붙듯이 번창하라’는 속 깊은 의미도 담겨 있었다고 한다. 한 땀 한 땀 살아온 3대의 삶 30~40년 전부터 한복을 손수 지어 입는 사람이 드물어지면서 ‘깨배기 주단’도 한복을 짓기 시작했다. 솜씨가 좋다 는 입소문이 나면서 ‘깨배기 주단’ 한복들은 날개 돋친 듯 이 팔렸다. 심지어 “깨배기 주단에서 혼수를 해가면 결혼해서 잘 산다더라”하는 속설까지 생겨났을 정도. ‘석 새 옷감에 아홉 새 바느질’, 아무리 옷감이 좋아도 바 느질이 곱게 돼야만 아름다운 한복을 만들 수 있다는 주 복순 여사는 혹여 바느질이 꼼꼼하지 않으면 그 자리에서 당장에 불호령을 내리셨다고. 최고의 한복을 만든다는 주 복순 여사의 자존심과 자부심은, 이제 며느리인 조정숙 (66) 씨와 손자인 조정완(44) 씨에게 고스란히 이어지고 있다. 주복순 여사와 함께 ‘깨배기 주단’을 운영해 온 며느리 조정숙 씨는 올해로 39년째, 손자 조정완 씨는 벌써 7년째 가업을 잇고 있다. 새로운 변화와 시도를 내세우면 서 정직과 신뢰, 최상의 품질을 고수하는 ‘깨배기 주단’의 경영 철학은 변함없이 지켜지고 있다. 단골은 대를 거쳐 오는 경우가 다반사다. 전주를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가도 집안에 중요한 대소사가 있을 때면 꼭 ‘깨배기 주단’을 찾는단다. 전주시 미래유산, 깨배기 주단 ‘깨배기 주단’은 남부시장 말고도 10여 년 전부터 중앙동 웨딩거리에서 2호점인 ‘비단길 깨배기’를 운영하고 있다. 굳이 먼 거리도 아닌 곳에 2호점을 내게 됐던 이유는 단 골들의 권유 때문. “세상이 변하면서 요새 사람들은 시장 물건이라고 하면 ‘무조건 싸구려’라고 인식하니까, 단골손님들이 자녀들한테 권하기가 조심스럽다는 거예요. 그래서 웨딩거리에 가게를 하나 더 내게 되었죠.” 요즘은 혼수를 준비하는 사람들도 예전보다 줄어들었고, 아이를 많이 낳지도 않으니 예전보다 장사가 잘되지 않는 단다. 그것은 다른 포목점, 주단 집들도 비슷한 사정이다. 어쩔 수 없는 일이기는 하지만 ‘깨배기 주단’이 전주시 미래유산 30호에 선정되면서 한 가지 작은 바람이 생겼단다. 전통을 잇는 사람들과 대를 이어 가업을 이어 가는 가게들에 대해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져서 움츠러든 골목 상권에도 훈풍이 불었으면 한다는 것. 70여 년 동안 가업에 대한 자부심과 전통의 명맥을 잇는 다는 사명감으로 전주 시민과 함께해 온 ‘깨배기 주단’. 다가오는 설 명절, 한 땀 한 땀 정성이 담긴 우리 옷을 만나고 싶다면 기꺼이 이곳으로 향하자. 깨배기 주단 주소 |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2길 55(남부시장 내) 문의 | 063-282-2634
#주단
#한복
#남도상회
#남부시장
#웨딩거리
전주 음식
왕의 술, 이강주
나라를 대표한 술 이강주세상에서 가장 진귀한 재료들로 술을 빚었겠지만 그나마 시간이 많이 흘러 당시에 귀하디귀하던 울금, 전주 배, 봉동 생강 정도는 우리도 먹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왕이 마시던 바로 그 술, 이강주 이야기다. 이강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배(이)와 생강(강)이 들어가는 소주다. 누룩과 멥쌀로 빚은 약주를 증류해 소주로 만든 후 배, 생강, 울금, 계피, 꿀을 넣어 침출시켜 만든다. 배는 청량감이 좋아 술을 부드럽게 만들고 생강과 계피가 이강주 특유의 톡 쏘면서도 은은한 향을 완성시킨다. 거기에 울금과 꿀이 더해져 매콤하면서도 달콤한, 우아하게 감칠맛이 나는 이강주가 완성된다. 울금은 왕실에서 특별히 관리할 정도로 귀한 약재로 경기전이 자리한 전주에서만 재배할 수 있었다. 이강주가 전주에서 빚어질 수 있던 이유다. 게다가 전주 배와 봉동 생강은 진상품이었다. 이렇듯 최고급 재료로 만든 이강주는 조선 3대 명주로 손꼽혀 사대부와 부유층의 가양주로 뿌리내렸다. 조선시대 상류사회 최고의 술이었던 이강주는 1882년 한미통상조약 체결 때는 나라를 대표하는 술로 만찬에 올라 고종의 건배주로 쓰였다. 오늘 밤, 이강주 마시는 법이강주는 은은한 노란빛을 띠는데 생강의 은은한 향과 어우러져 마시기 전부터 입맛을 돋운다. 25도로 알코올 도수가 높은 편인데도 울금 덕분에 뒤가 맑다. 숙취도 없고 빛깔과 향기, 부드러운 맛까지, 술에 기품이 넘친다. 이런 까닭으로 ‘여름밤 초승달 같은 술’로 불렸다. 오래 묵힐수록 향이 깊어지며 시원하게 먹으면 더욱 좋다. 상큼하면서도 고소하고 매콤하면서도 달콤한 이강주는 고소한 전 요리에 어울린다. 기름기 있는 부침개나 전을 먹을 때 배와 계피, 생강의 시원하고도 알싸한 맛이 느끼함을 잡아준다. 때문에 한국식 밥상의 반주로도 좋지만 기름진 서양 음식에도 잘 어울린다. 왕의 도시 전주를 구석구석 돌아본 여행자라면 오늘 밤 치킨 한 마리 시켜 먹을 때 맥주 대신 이강주를 마셔 보자. 전통주에 익숙지 않은 여행자라면 한 번 먹어보고는 싶은데 병도 으리으리하고 술맛도 잘 몰라서 선뜻 손이 가지 않을 수 있다. 그런 이에게는 이강주 칵테일을 추천한다. 전통주 칵테일바 진주도가에 가면 잔술로도, 칵테일로도 즐길 수 있다. 직접 만든 생강 시럽과 계피 시럽, 편강과 민트 등을 넣어 만든 이강주 칵테일은 이강주 특유의 맛과 향을 잘 살려냈다. 이강주는 전주전통술박물관에서 구입할 수 있다. 알코올 25%를 기본으로 19%와 38%의 별도 제품이 있고 50㎖ 미니어처에서 3,000㎖까지 다양한 상품이 판매되고 있다. 400㎖ 18,000원, 750㎖ 25,000원(백자). 이강주를 살 수 있는 곳전주이강주 전주시 덕진구 매암길 28, 063-212-5765전주전통술박물관 전주시 완산구 한지길 74, 063-287-6305진주도가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길 3길 13-5, 063-287-3392 조정형 이강주 명인이강주는 일제강점기 가양주 말살 정책으로 맥이 끊어질 뻔했다가 조정형(75) 명인의 노력으로 다시 옛 명성을 되찾았다. 이강주는 그의 가문에서 6대째 내려오는 가양주다. 그는 이강주를 살려보겠다며 직장을 그만두고 회사를 세웠다. 그게 벌써 25년 전이니 직장 생활까지 해서 마침 올해가 술 인생 50주년이다. 그가 무형문화재(1987년, 6호)가 되고 대한민국 식품명인(1996년, 9호)이 된 건 어쩌면 당연한 일. 그는 회사 경영에서 한 발 물러선 요즘도 매일같이 연구실로 출근해 ‘가루술’을 연구하고 있다. 가루술은 이강주의 세계화, 현대화를 위한 도전이다. 술 장인으로서의 그의 삶은 여전히 청춘이다.
#막걸리
#배
#생각
#약주
3·1운동 100주년, 전주 그날의 기억
전주 3·1운동의 숨결이 머문 곳
학생들의 독립운동을 주도한 신흥고신흥고는 기전여학교와 함께 전주 지역 학생 독립운동의 산실이다. 1929년 항일학생운동 등 신흥고 학생들은 항일독립투쟁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1937년 신사참배 종용에 거부하면서 일제에 의해 학교가 폐쇄되기도 했다. 현재 신흥고등학교 기념관 내에는 전주 3·1운동의 치열했던 기록들이 남아 있다. 전주시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이러한 역사를 기리기 위해 신흥고 앞 버스정류장을 3·1운동 테마정류장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정류장에는 지역 작가들이 만든 3·1운동 상징 조형물과 함께 역사 기록 현판이 전시된다.주소 |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399 전화 | 063-232-7070 전주 3·1운동의 횃불 밝힌 서문교회서문교회는 1893년에 세워진 호남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이자 전주 3·13만세운동을 총지휘한 김인전 목사가 담임으로 있던 교회이다. 또한 1921년 부임한 배은희 목사 역시, 항일민족단체였던 신간회의 전주지부장을 맡아 교육과 농촌부흥운동에 힘썼다. 현재 서문교회 내에는 전국에서 가장 오래된 종탑이 남아 있다. 직경 1m의 커다란 종이 달려 있는 이 종탑은 1908년에 세워져 1944년 일제 말기에 강제 공출되었으나, 해방 후 다시 제작된 아픈 기억을 가지고 있다.주소 | 전주시 완산구 전주천동로 220 전화 | 063-287-3270 독립운동가 김인전 서문교회 목사1876.10.7. ~ 1923.5.12.일제 강점기의 목사이자 독립운동가이다. 충남 서천에서 태어나 1914년 평양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고 목사 안수(按手)를 받았다. 1914년 전주서문교회 제2대 목사로 부임해 비밀리에 독립운동단체를 조직하고 전주 3·1운동의 지도자로 활약했다. 중국 상하이로 망명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의장을 지냈다. 1921년 안창호 등과 함께 한·중 연대 조직인 ‘중한호조사(中韓互助社)’를 조직하였고, 1922년에는 김구·여운형 등과 함께 한국노병회(韓國勞兵會)를 발기하여 군대 양성과 독립운동 비용 조달에 주력했다. 1923년 48세의 나이로 순국하였으며, 198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김구 선생이 머물렀던 학인당1949년 해방 정국, 백범 김구 선생과 해공 신익희 선생이 전주를 방문해 학인당에 거처를 정하고, 이곳에서 임시정부 인사들과 회동했다. 그들이 머물렀던 방은 현재 ‘백범지실’, ‘해공지실’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온전히 보존되고 있다. 임시정부 인사들을 비롯한 귀빈들이 주로 머물렀던 인재 고택 학인당은 일제하에서도 민족 문화 보존에 앞장을 선 상징적인 건물이다. 주소 | 전주시 완산구 향교길 45 전화 | 063-284-9929 꼿꼿한 시인의 기개가 서린 비사벌초사신석정 선생은 친일 시를 한 편도 남기지 않았으며, 일제 말기에 창씨개명을 끝까지 거부한 시인이다. 노송동에 위치한 비사벌 초사는 시인이 1954년 전주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할 때부터 별세한 1974년까지 시인이 직접 가꾸고 살았다. 오직 시를 향한 열정만으로 집을 채웠고 비사벌 초사에서 예순여덟을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신석정 시인이 떠난 후 이 집을 인수한 부부는 현재까지 이곳에 머물면서 ‘비사벌초사’라는 전통찻집을 운영하고 있다.주소 | 전주시 완산구 관선4길 42-9 전화 | 063-231-3118
2020.10.29
#3·1운동
#신흥고
#서문교회
#학인당
#비사벌초사
자치분권위원회 초청 특례시 세미나 현장을 가다
전주 특례시 지정 ‘한목소리’
전주 특례시 지정, 무엇보다 갈급하고 시급한 일3월 8일, 오랜만에 미세먼지가 걷히고 봄볕마저 따사로웠던 오후, 국립무형유산원 국제회의장은 사람들로 빼곡했다. 전주시가 대통령 소속 자치분권위원회를 초청해 ‘전주 특례시 지정을 위한 정책 세미나’를 열었기 때문. 자치분권위원회는 문재인 정부의 핵심 과제이자 시대적 소명인 자치분권을 위한 총괄 조정기구로, 관련 제도개혁 방안을 대통령께 보고하고 이를 실현해 나가는 조직이다. 자치분권위원회의 민간 전문가들과 행정, 언론, 시민까지 회의장에 모인 인원은 200여 명. 특례시 지정이라는 중차대한 현안 때문인지 약간은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세미나가 시작되었다. 첫 발제자인 김승수 전주시장은 “오늘은 솔직하고 간곡한 진심을 전해드리고자 한다”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대한민국에서 광역시 없는 지역은 전북, 강원, 충북 세 곳뿐이고, 특례시는 예산 차별을 극복하는 일이자 지역의 미래가 달린 문제이기도 하지만 전주 시민이 자존감을 찾는 일이기도 하다면서, 빗물이 바위를 뚫는다는 믿음으로 추진해 가겠다고 다짐했다. 100만 인구 도시, 특례시 지정 기준의 문제점두 번째 발제는 조성호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이 ‘특례시 지정 기준과 특성화 전략’이라는 주제로 진행했다. 조성호 위원은 전주시의 주장이 설득력과 타당성이 높고, 정부가 재검토할 여지가 많다면서 일본의 예를 들었다. 일본에는 1950년대 기초도시이면서 준광역시로 인정하는 지정시 제도가 생겼는데, 인구 기준을 100만 명에서 70만 명으로 낮추었고, 그 결과 동경권에 네 곳, 비동경권에 열여섯 곳으로 지정시가 균형 있게 자리했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대한민국이 정부안대로 100만 인구를 기준으로 삼아 특례시를 지정한다면, 수도권에 특례시가 세 곳이 집중되고 비수도권에는 겨우 한 곳이 지정되어 결코 국가 균형 발전을 이야기할 수 없다고 마무리했다. 특례시 지정, 새로운 기준을 찾다토론은 충북대학교 안성호 교수가 좌장을 맡고 조선대학교 강인호 교수, 충북보건과학대학교 김혜란 교수, 강원대학교 신윤창 교수, 전북대학교 조승현 교수, 금창호 지방행정연구원, 전주MBC 김한광 국장, 전북도민일보 한성천 국장이 참여했다. 토론자들은 하나같이 특례시 지정에 새로운 기준이 필요하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다. 김혜란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직된 행정 체제를 바꾸기 위해 특례시 논의가 시작됐다”고 배경을 설명하면서, 그런 고민 속에서 나온 논의가 과거의 기준으로 결정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금창호 연구위원은 “인구 50만 이상의 도청 소재지를 포함하는 등의 행안부가 적정하게 수용할 수 있는 기준을 서둘러 적립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고, 한성천 국장 역시 김병관 의원의 발의처럼 “인구 50만 이상에 행정수요가 100만인 도시, 인구 50만에 도청 소재지인 도시를 포함해 지정 기준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례시는 인구보다 역량과 위상을 갖춘 도시강인호 교수는 “도시가 수행하는 경제 사회적 기능, 문화 역사적 전통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된다”며 시대에 맞는 특례시 기준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신윤창 교수는 도시의 철학과 정체성을 강조했다. “문화가 바탕이 되어야 하고 시민 의식이 중요한데, 전주는 문화적 토양이 풍부한 도시고 문화 의식 역시 매우 높다”며 전주 특례시 지정을 응원했다. 자치분권위원회 위원 대부분이 전주와는 연고가 없음에도 전주 특례시 지정에 한목소리를 냈다. 이것은 전주 특례시 지정이 결코 전주만의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으로 대한민국의 모든 지역이 고르게 발전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또한 문재인 정부가 국민에게 다짐한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할 것’이라는 약속을 지키는 일이기 때문이다.
2020.10.28
#특례시
#토론
#자치분권위원회
특례시로 여는 새로운 전주시대
특례시 지정, 모두 함께 응원해요!
특례시에서 출근하는 기쁨을!박선정 | 23․대학생전주는 관광도시로는 인기가 높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개발이 뒤처진 것 또한 사실이에요. 전주가 ‘대한민국 대표 전통문화도시’라는 자부심은 간직하면서도 특례시 지정으로 ‘역동적으로 발전하는 도시’의 이미지도 갖추게 되면 금상첨화일 것 같아요. 저를 비롯한 전주 청년들이 새롭게 발전하는 고향에서 일자리에 대한 걱정 없이 미래를 꿈꿀 수 있다면 얼마나 행복할까요? 전주 특례시에서 청년들이 출근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도록, 더욱더 노력해 주세요. 우리 아이들에게 든든한 미래를이정빈 | 32·직장인부모로서 우리 아이들을 쾌적한 보육 시설에서 건강하게 키우고 싶어요. 수준 높은 교육과 서비스를 누리게 하고 싶지만, 서울이나 수도권에 비해서는 환경이나 시설이 많이 아쉽긴 해요. 전주가 특례시로 지정되면 국가의 지원도 늘고, 그만큼 시민들에게 다양한 복지, 문화, 교육 혜택이 돌아간다고 들었어요. 우리 아이들이 광역시 못지않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든든하고 멋진 미래를 만들어 주세요. 특례시로 지역 발전, ‘슛~골인!’왕현주 | 26·농구 코치종종 지인들이 푸념 섞인 얘기를 털어놔요. “광주나 대전은 쑥쑥 커나가는데, 전주만 왜 항상 개발에서 뒷전인지 모르겠다”고. 물론 정부 탓이 크다는 것도 알아요. 때문에 문화특별시를 약속한 문재인 정부에 대한 기대도 엄청 커요. 이번에 전주가 특례시 지정에 나선다는 얘길 듣고 새로운 희망이 생겼어요. 특례시가 되면 전주의 재정도 튼튼해지고, 행정 서비스도 좋아진다고 하니 벌써부터 기대가 큽니다. 특례시 지정 1%의 가능성을 100%의 희망으로 만들 수 있도록 저도 함께 응원할게요! 누구나 행복한 전주 골고루 발전하는 대한민국안현진 | 62·원불교 봉공회 전북지부 회장타 도시로 자원봉사 활동을 나갈 때마다 전주에서 왔다고 하면 항상 환영을 받아요. 전주는 ‘양반의 도시’, ‘문화와 교육의 도시’, ‘ 품격이 있는 도시’라며 많은 분들이 칭찬을 아끼지 않지요. 전주는 그런 자부심이 있는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지방이라는 이유로 발전에서 항상 소외되어 왔어요. 그런 설움과 안타까움을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는 없죠. 이번 특례시만큼은 시민들도 한마음 한뜻으로 전주시에 믿음과 응원, 그리고 힘을 보탰으면 해요. 아이들도, 어르신도, 장애인도 누구나 행복한 전주를 만들 수 있도록! 서울도 전주도 모두가 고르게 발전한 대한민국을 만들 수 있도록! 전주 특례시 지정, 시민의 힘으로 함께 만들어 갑시다. 도시 경쟁력 ‘쑥쑥’, 일자리가 ‘넘실’송현우 | 41·ICT기업 대표전주에서 작은 ICT기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수도권에 비해 기업 지원이라든지, 기업 간 네트워크, 인프라 등이 턱없이 부족한 게 현실입니다. 전주의 청년 인재들이 이런 현실에 부딪혀 더 나은 환경을 찾아 고향을 떠나는 것을 보고 한편으론 이해가 되면서도 참 안타까웠어요. 특례시 지정으로 전주의 위상이 올라간다면 국가지원사업도 많아지고 좀 더 기업하기 좋은 환경으로 바뀌지 않을까요? 도시 경쟁력이 높아지면 자연스레 더 많은 기업들의 투자와 더 많은 고용 창출이 생겨난다고 생각하니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도 두 손 들어 환영할 일이죠. 전주시가 꼭 특례시 지정을 이뤄내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도시, 기업하기 좋은 도시로 거듭나길 바랍니다. 특례시로 새로운 전성기를서영주 | 47·요리사맛의 고장 전주는 옛날부터 곡창지대에 둘러싸여 물자들이 풍성하게 넘쳐났던 곳이죠. 잘 먹고, 잘 살고 자부심 넘치던 시절이 있었어요. 그래서 전주 시민들이 더더욱 광역시를 간절하게 원해 왔던 것 아닐까요? 그동안 새로운 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광역시 승격에 대한 기대는 있었지만, 늘 결과는 똑같았어요. 하지만 이번만큼은 다르다고 생각해요. 문재인 정부도 지방분권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어서 더욱 특례시 지정에 대한 기대가 큽니다. 이번에 꼭 전주가 특례시로 지정되어서 다시 새로운 전성기를 맞을 수 있길 바라요. ‘호남 제일의 도시’ 명성 되찾길조현호 | 47·농업인전주는 예부터 호남 제일의 도시로 명성이 자자했잖아요. 1900년대 초만 해도 대한민국에서 손꼽는 대도시로 전국에서 사람과 물자가 몰려들었어요. 오랜 세월 전주 땅을 일궈 온 농민의 한 사람으로서 가슴 한편에 늘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광역시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계속 발전에 뒤처지고만 있어 안타까워요. 이번 특례시 지정은 그 옛날처럼 호남 제일의 도시가 될 순 없어도 그에 걸맞은 명성을 다시 찾아올 소중한 기회라고 생각해요. 항상 다른 지역의 발전을 지켜보며 부러워만 했는데, 우리 전주가 특례시가 된다면 속이 정말 후련할 것 같습니다. 금융도시를 향한 발판으로이진순 | 53·은행원시중은행 지점장으로서 가끔씩 서울에 교육을 받으러 갈 때마다 서울 사람들이 부러웠던 적이 많아요. 서울과 수도권으로 핵심 인프라와 경제력이 집중되고 있으니까요. 꼭 부유한 도시가 행복한 도시는 아니겠지만, 경제력을 바탕으로 좋은 서비스와 기회를 제공받는 것 같아 부러울 때가 많아요. 특례시로 지정되면, 전주가 추진 중인 제3의 금융중심도시에 큰 힘을 실어줄 수 있지 않을까요? 특례시 지정으로 우리 전주가 국제금융도시의 꿈을 이룰 수 있길 바라요.
#도시
#행정
#인프라
#기업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