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기획 특집

오월, 전주는 청춘이다

전주의 오월이 빛나는 이유 스무 살 전주국제영화제가 있기에

2019.05
오월, 온 도시가 푸르게 살아나는 계절. 올해 전주는 어느 때보다 빛나는 봄을 맞이한다. 전주국제영화제가 스무 살을 맞으며 청춘의 정점에 오른 것이다. 언제나 젊은 영화제, 봄을 닮은 영화제로 오월을 물들여 온 전주국제영화제가 어엿한 성년으로서 첫해를 어떻게 장식할지, 수많은 시민과 영화인들이 설렘과 기대로 올해 영화제를 반기고 있다.

image


전주국제영화제, 스무 살을 맞기까지
봄기운으로 물오른 오월의 축제, 전주국제영화제가 어느덧 스무 번째 만개를 앞뒀다. 2000년 4월 8일, 제1회 전주국제영화제가 개막하며 전주는 새로운 약동을 시작했다. 1950~1960년대 한국영화의 터전이던 전주가 다시금 르네상스를 맞이한 것이다. 이후 해마다 영화의 박동으로 전주의 봄을 깨어 온 전주국제영화제. 전주 시민이 봄을 기다리는 또 하나의 이유가 되었다.
전주국제영화제가 초기에 내세운 정신은 자유와 독립, 그리고 소통이었다. 기존의 상업영화가 아닌 저예산 독립영화를 격려하고 지지하며 주류의 대안을 탐색하는 것이 국내 다른 영화제와 차별화되는 전주국제영화제의 특징이었다. 이것이 전주국제영화제가 지켜온 초심이자 뚝심이다. 한때는 ‘정체성’과 ‘대중성’ 사이에서 방황하기도 했으나, 회를 거듭하며 ‘비주류 영화제’로 지향성을 확고히 했다. 동시에 ‘영화의 거리’를 축제의 장으로 조성해, 영화 마니아들뿐만이 아니라 시민 모두 즐기는 ‘관객 중심의 영화제’를 펼쳐 왔다.
지금껏 전주국제영화제는 ‘영화의 본질은 기술이 아닌 자유로운 표현에 있다’는 신념을 잃지 않았다. 표현 방식과 상상력에 경계를 두지 않고 낯설고 다양한 영화미학을 제시해 왔다. 또 정치권력과 대규모 자본, 사회 통념으로부터의 독립을 외쳤으며, 어두운 시대에 용기 있게 저항하며 해방구로서의 역할을 해냈다. 국내의 독립영화를 세계에 선보이는 한편, 아프리카, 아시아, 남미 등 문화적으로 소외된 제3세계 지역의 영화를 소개하며 세계 각국의 영화를 관객과 이어주는 통로가 되었다. 같은 시대를 다른 시차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전주라는 공간에서 함께 호흡한 것이다. 국경과 인종의 울타리를 허무는 소통의 장을 열어 온 것이다. 나아가 ‘전주시네마프로젝트’를 운영해, 영화를 소비하고 향유할 뿐만 아니라 생산하는 주체로 자리 잡으며 영화제의 경쟁력을 높였다. 스무 해의 봄을 지나온 지금, ‘맛의 고장’, ‘천년고도’, ‘전통문화도시’만큼이나 ‘영화의 도시’ 역시 전주를 수식하기에 손색없는 이름이 되었다.


image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영화제로 우뚝
첫 회를 치른 2000년만 해도 여기저기서 우려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대도시도 아닌 전주에서 국제영화제를 여는 것을 못 미더워하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 또한 풍부한 유·무형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간직해온 것이 전주의 자랑이었으나, 그만큼 느리고 예스러운 도시라는 편견이 없지 않았다. 하지만 전주국제영화제를 기점으로 전주는 문화예술도시로서의 역사를 새로이 쓰기 시작했다. 미디어시대를 선도하는 문화예술의 메카로 발돋움하게 된 것이다. 전주국제영화제를 통해, 전주는 옛것만을 고집하지 않고 낯설고 새로운 문화를 팔 벌려 껴안는 도시임을 인정받았다.
2017년 전주시네마프로젝트의 지원을 받아 제작한 작품인 <노무현입니다>가 다큐멘터리 영화 중 최단기간에 100만 관객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으며, <초행>은 로카르노국제영화제 신인감독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냈다. 이로써 전주국제영화제가 독립영화의 산실임을 증명했다. 또한 2017년 미국의 영화전문매체 <무비메이커>가 꼽은 세계에서 가장 멋진 25개 영화제 중 하나로 이름을 올리는 등 세계 유수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국제영화제’라는 이름값을 여실히 발휘한 것이다. 이렇듯 전주국제영화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영화제로 전 세계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