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에 해당하는 글 322건
전주의 꽃심
“전주의 역사(驛舍)에 민족의 역사(歷史)가 살아 숨 쉰다”
박준상 어르신이 추억하는 전주의 역(驛) 이야기
요즘처럼 교통수단이 발달하지 못했던 그 옛날, 기차는 단순한 교통수단 그 이상이었다. 전주역에서부터 멀리 이리역까지, 철도청에서 40년간 근무한 박준상 어르신에게 기차역은 일터를 넘어 우리 민족의 쓰라린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장소였다. 박준상 어르신의 추억 가득한 전주 역사(驛舍) 이야기를 들어 보자. 사람들로 북적이던 노송동 시절의 전주역 요즘 사람들에겐 생소하겠지만, 내가 초등학교를 졸업하던 때만 해도 중학교로 진학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했어요. 대신 중학교에 정식으로 입학하지 못한 아이들에게 2년간 중학교 과정을 배울 기회가 있었어요. 그렇게 2년간의 과정을 마치고 철도청 입사 시험을 봤습니다. 당시 50명을 뽑는데 350명이 몰렸어요. 시험 결과, 1등 그러니까 수석으로 철도청에 입사했습니다. 1945년 4월 1일 자로 철도청에 입사해서 교육을 받고 6월 30일부터 전주역에서 근무를 시작했습니다. 당시 전주역은 기린봉을 등지고 노송천을 바라보고 있는 자리, 즉 현재의 노송동에 있었답니다. 당시 노송천을 가로지르는 노송가교가 있었는데 전주역사를 지으면서 함께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다리를 건너 50m쯤 지나면 전주역 광장이 나왔어요. 반세기도 훨씬 지난 일인데 아직도 그 풍경이 생생합니다. 당시 전주역에 하루에 오가는 열차가 임시열차까지 해서 40편가량 됐어요. 1,500명 정도가 오갔으니 그야말로 역이 인산인해를 이뤘다 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마중 나오고 배웅하는 사람들까지 하면 역을 방문하는 사람들 수는 어마어마했어요. 노송가교까지 사람들이 줄을 섰으니 그 수를 헤아리기도 힘들 정도였습니다. 그렇게 1981년 현재의 역사로 옮기기 전까지 무려 50여 년간 노송동에 자리한 전주역은 전주는 물론, 전라북도 사람들의 발이 되어 주었습니다. 아직도 잊지 못하는 6·25 당시 전주역 풍경 전주역에 발령받았을 때가 해방 직전이었는데요, 당시 일본 군인들이 여수에 상륙해서 북으로 올라갈 때 전주역을 지나갔다고 합니다. 객차가 모자라 화물차에 사람도, 말도 함께 실어 날랐다더군요. 소련군이 청진, 나진에 상륙했을 때 남조선을 요새화한다며 쌀을 비롯한 화물을 기차에 엄청나게 실어 날랐다고도 해요. 직접 보진 못했지만 입사 후 하도 많은 이야기를 듣다 보니 마치 눈앞에서 본 것처럼 생생합니다. 그러다 직접 목격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해방 후 8월 하순부터 일본, 중국 등지에서 돌아오는 귀환 동포들로 기차 안의 혼잡은 이루 말로 할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1~2시간 지연은 보통 있는 일이었고, 목적지가 없는 귀순 동포들이 광장 언덕과 역사에 거적을 깔고 자는 일도 부지기수였습니다. 그렇게 해방 직후 붐볐던 기차역이 조금 한산해지나 싶었는데 그 후 5년이 채 되지 않아 6·25 전쟁이 발발했습니다. 전쟁 직후 기차는 피난민을 수송하는 유일무이한 교통수단이었지요. 피난민들이 보따리를 지고 객차 위까지 올라탔던 모습은 지금도 잊을 수 없습니다. 사람들이 너무 타서 스프링이 가라앉아 기차가 움직이지 못할 지경에 이르기까지 했지요. 그래서인지 지금도 그 시절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40년 철도청 근무 중 가장 잊지 못할 순간이 바로 6·25 직후였습니다. 어쩌면 가장 역사적인 사건이기에 더욱 기억에 남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혼자 간직했던 기억에서 모두 기억해야 할 역사로 내 나이가 올해 우리나라 나이로 아흔셋이에요. 살아온 날보다 살아갈 날이 얼마 남지 않은 나이지요. 아흔이 넘고 나니 내가 죽고 나면 수십 년 전 전주역에 대한 기억을 알릴 길이 없겠다 싶었습니다. 그래서 철도청에서 근무한 자료들을 자손들에게 물려주려 했는데 과연 내 바람처럼 잘 간직하고 널리 알릴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러던 차에 전주시 기록물 공모전에 대해 알게 됐습니다. 더없이 좋은 기회라는 생각이 번뜩 들었습니다. 젊은 사람들에게는 까마득한 옛날이겠지만 우리가 살던 시절을 후대에 알릴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 말이지요. 사실 40년간의 철도청 근무 중 전주에만 있었던 건 아니에요. 익산, 정읍, 신태인, 백양사, 순천, 동산, 삼례, 이리역 등 근교에 안 가본 곳을 손꼽는 게 더 쉬울 정도예요. 그런데 내가 송천역에서 퇴직을 했어요. 그러니까 전주에서 시작해 전주에서 마무리하게 된 것이지요. 그래서인지 전주에서의 기억이 유독 마음이 남아 있어요. 내가 기증한 자료들로 이런 내 마음이 모두 전달되진 않겠지만 그저 지나온 전주의 역에 대한 역사를 알릴 수 있다면 그걸로 만족합니다.
2020.05.25
#노송동
#전주역
당신과 더불어
사람과 소통하는 소리꾼 통장님
공연예술가 노은실
옛것을 지키며 사람들에게 새로운 흥을 불러일으키는 시도는 언제나 흥미롭다. 전통 판소리에 인형극을 접목한 ‘판소리 인형극’ 역시 새로운 시도 중 하나다. 어렵고 지루하다는 우리 소리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기 위해, 사람들과 소통하며 끊임없이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공연예술가이자 서완산동 통장님인 노은실 씨를 만났다. 우리 소리는 어떻게 시작하게 되셨나요? 제 고향이 판소리 ‘춘향가’의 도시 남원인데요, 할머니께서 강도근 명창과 먼 친척 간이었어요. 그 덕분에 가족들 모두 소리에 관심이 많았고, 저도 자연스레 소리 공부를 시작했어요. 국악예술고와 대학에서 판소리를 공부하면 할수록 ‘사람과 소통’하는 음악을 꿈꾸게 되었고, ‘판소리 인형극’도 그러한 노력의 결과물이에요.판소리와 인형극, 다소 생소한데요, 두 장르를 함께 무대에 올리신 배경이 있나요?현대사회에서는 청각에 의존하는 공연으로는 관객들에게 다가가기 어렵다고 생각했어요. 같은 내용을 더 재미있고 쉽게 전달하려면 눈으로 보이는 소재가 필요하다고 느꼈고, 그래서 인형극을 선택했지요. 소리꾼의 재치 있는 재담에 다양한 연극적 오브제(소품)를 더한 것이지요.서완산동에서 ‘통장님’으로도 활동하고 계시는데 어떤가요?2018년, 처음 전주로 이사를 왔을 때 많이 놀랐습니다. 동네 분들이 반찬이며, 화단에 심을 꽃까지, 아낌없이 나눠주시는 거예요. 서완산동은 전주에서도 주민이 많지 않은 아주 작은 동네지만, 서로를 위하는 마음만큼은 여느 동네 못지않아요. 올해부터는 서완산동에서 ‘통장’으로도 활동하게 됐는데요, 통장으로 활동하면서 동네를 구석구석 알게 되었을 뿐 아니라 많은 동네 분들이 도와주셔서 즐겁게 하고 있습니다.최근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전주-뉴올리언스 유튜브 공연에도 참여하신다면서요? 소리꾼으로서 코로나19로 어려운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노래를 부를 수 있어 영광이고, 국경을 넘는 문화 교류에 참여할 수 있어 기쁩니다. 공연에서 린 온 미(Lean On Me)라는 팝송과 우리의 태평가가 어우러져 한 소리가 됐는데요, 연주자들은 물론, 관객과 직접 만나지 않고 비대면으로 이뤄지는 온라인 공연도 처음 해 보는 시도라서 무척 새로웠습니다.앞으로 도전하고 싶은 음악이나 공연이 있으신지 계획이 궁금합니다. 그동안 판소리의 원형이 무엇일까 많은 추측을 해 봤습니다. 꼭두, 탈, 악기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해 관객과 어우러지는 ‘판’이었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지요. 앞으로는 전주에서 내가 겪은 이야기, 전주 사람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판’을 만들어 보고 싶어요. 일상의 모든 이야기와 즐거움을 녹여낸 공연을 만들고 싶은데요, 특히 누구나 거리낌 없이 즐길 수 있는 ‘극’을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판소리
#소리꾼
#우리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