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 대보름"에 해당하는 글 2건
더보기 +
전주 절기음식
보름달같이 큰 마음을 담은
정월의 약밥
1,500년을 지켜 온 절기음식, 대보름 약밥 삼국유사에는 정월 대보름 약밥의 기원과 관련된 전설이 담겨 있다. 신라시대 임금 소지왕은 정월 대보름날 궁을 나섰는데, 까마귀와 쥐가 시끄럽게 울었다. 이에 쥐가 사람의 말로 왕에게 이렇게 말했다.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따라가 보옵소서.” 임금은 신하를 시켜 까마귀를 따라가게 했는데, 까마귀를 따라 어느 연못에 이르자 연못에서 노인이 나타나 편지봉투를 주며, “그 봉투 안의 글을 읽으면 두 사람이 죽을 것, 읽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라 말했다. 편지에는 “거문고 상자를 쏘라”라고 적혀 있었다. 임금이 활로 거문고 상자를 쏘자, 임금을 해치려 한 자들이 활에 맞아 죽었다. 이후 정월 대보름을 오기일(烏忌日)이라 하고 찰밥을 준비해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생기게 되었고, 이 찰밥이 후에 약밥으로 발전했다. 약보다 더 좋은 밥 약밥은 흔히들 생각하기에 약(藥)으로 알고 있지만, 그 외에도 꿀을 사용한 음식이기에 ‘약’자가 붙는다. 한 해를 건강하고 활기차게 시작하길 기원하는 뜻에서 유래했다. 찹쌀을 물에 잘 불려 시루로 찌면 그냥 먹어도 맛있는 찰밥이 완성된다. 여기에 꿀과 참기름을 넣어 향을 더하고, 간장을 약간 섞어 기본 간과 색을 내준다. 불포화지방산과 각종 영양소가 가득 들어 있는 밤과 대추 은행 등의 재료를 넣어 다시 한 번 쪄 주면 약밥의 완성이다. 부럼을 깨고 난 뒤 남은 견과류를 쓰면 더욱 좋다.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낸 뒤 잣을 고명으로 얹으면 더더욱 손이 가는 약밥이 탄생한다. 전주의 전통을 식탁에 담아 특히 전주에서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약밥을 즐기는 이들이 많다. 볏짚 태우기, 다리밟기 등 농촌문화가 남아 있는 까닭이다. 전통술박물관에서는 약밥과 함께 “귀 밝아라, 눈 밝아라”라며 덕담을 나누며 마시는 귀밝이술도 즐길 수 있다. 음식문화가 꽃을 피운 전주답게 집집마다 약밥을 나물무침과 함께 먹는 전통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정월 대보름의 약밥 한 그릇은 가족과 함께 새해의 시작을 따뜻하게 보낼 수 있는 특별한 만찬이다. 언제나 건강하고 행복한 한 해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가족과 함께 보름달을 바라보자. 대보름을 맞아 집에서 해 먹는 약밥 재료 찹쌀, 설탕, 계핏가루, 참기름, 밤, 잣, 흑설탕, 진간장, 소금, 은행, 대추, 건포도, 호두 1. 찹쌀을 4시간 정도 미리 불린다. 2. 대추 8개를 씻어 씨를 뺀 후 채 썬다. 나머지 대추와 대추 씨를 물에 삶는다. 3. 2의 대추 삶은 물을 체에 걸러 대추 물을 만든다. 4. 대추 물에 진간장, 소금, 흑설탕, 계핏가루를 넣고 섞는다. 5. 전기밥솥에 불린 찹쌀과 호두, 건포도, 은행, 밤을 넣고 대추 물을 부어 취사한다. 6. 완료된 5를 잘 섞은 후 다시 한 번 취사한다. 7. 참기름, 채 썬 대추, 잣을 넣고 섞은 뒤 틀에 넣어 식힌다. 8. 다 식은 이후 한입 크기로 자른다.
2023.12.21
#절기음식
#정월의 약밥
#정월 대보름
취향 따라 걷다
달이 둥실~ 정월 대보름맞이 마을 여행
한옥마을 만월, 복주머니에 소원을 달다전주한옥마을 오목대에는 수령 5백 살이 넘은 노거수(老巨樹)가 있다. 해마다 대보름이면 이 나무 옆에서 당산제를 지낸다. 밝은 달빛 아래서 제를 지내고 한 해의 소원을 비는 이유는 당산나무와 관련된 가슴 아픈 설화가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까닭이다. 마을에 전염병이 돌아 어린 남매를 둔 부부가 병에 걸리고 만다. 자식에게 옮길까 봐 부부가 산속으로 들어갔는데, 부모를 찾겠다고 나선 첫째가 그만 폭설에 죽고 만다. 오라비를 기다리던 동생도 동사하고 마는데, 그 자리에서 싹이 올라오더니 거목의 당산나무로 자랐다고 한다. 이때부터 마을 사람들은 어린 남매를 위로하며 대보름마다 제를 지냈다. 산전수전 다 겪은 이 당산나무에 사람들은 소원이 적힌 알록달록한 색색의 복주머니를 달아 놓고 한 해의 무탈과 안녕을 기원한다. 또, 한옥마을 서문 가까이 있는 ‘우리 놀이터 마루달’에서는 대보름을 맞아 ‘부럼원정대’를 진행한다. 2021년부터 진행된 정월 대보름 부럼원정대는 액귀들이 숨겨 놓은 보름달을 되찾는다는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진행되는 행사이다. 참가자들이 다양한 우리 놀이 미션을 해결하고 액귀를 쫓을 수 있는 부럼카드를 획득한 뒤 기념품을 받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옥마을 당산나무에 무탈을 기원하는 복주머니도 달고, 마루달에 들러 고누·쌍륙·제기차기 등 전통 놀이도 체험하면서 액운을 쫓으며 부럼을 깨물어도 좋겠다.오목대 l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55 (※오목대 둘레길 현장 개선 공사로 2월 6일까지 출입 통제)세내에 뜬 달, 기접놀이 흥에 희망을 싣다전주의 대표적인 도농복합마을인 삼천동의 정동, 비아, 용산, 함띠 마을은 1940년대까지 기접놀이가 활발하게 이어져 내려오던 곳이다. 일제 강점기 이후 희미해진 그 맥을 잇기 위해 1972년 ㈔전주기접놀이보존회를 결성했고, 해마다 정월 대보름이 되면 ‘세내’라고도 불리는 삼천에서 시민들과 함께 풍물과 어우러진 쥐불놀이, 달집태우기 행사를 해 왔다. 최근 몇 년간은 코로나로 인해 행사를 중단했지만, 올해 정월 대보름에는 달집태우기 행사 등 예년에 진행했던 풍성한 프로그램으로 시민들과 다시 만날 예정이다. 기접놀이를 시작으로 보름 음식을 나누어 먹고 체험마당과 얼쑤, 신나는 대동한마당 등 네 마당으로 짜여진 성대한 잔치가 열린다. “망월이야, 전주에 희망의 달이 떴구나!” 함성에 맞추어 전주기접놀이보존회 전문 회원들의 맛깔나고 구성진 풍물이 함께 어우러져 흥이 넘치는 신명 난 보름맞이 한마당이 펼쳐질 예정이니, 세냇가에 밝게 타오르는 달집을 돌며 한 해 운수대통을 염원해 보면 어떨까.전주기접놀이 전수관 l 전주시 완산구 세내로 39서학동 흑석골에서 소망과 무탈을 기원하다서학동 흑석골 마을 입구에는 수령이 3백 년 된 당산나무가 서 있다. 이 나무 아래에서 해마다 정월 대보름이면 마을 부녀자들이 좀도리쌀(‘밥할 때마다 한 줌씩 덜어내어 모은 쌀’을 이르는 전북 방언)을 모아 잔치를 연다. 마을의 안녕과 길운을 빌고, 한 해 소망과 무탈을 기원하는 것이다.사람들이 마을 길을 오가며 기복의 비손 문화를 이어 간 덕분에 맥이 이어져 온 당산제를 당산제전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복원한 건 2000년. 이후로 해마다 정월 대보름이면 흑석골 만남의 광장에서 당산제를 올리며 마을 주민과 시민이 함께 어울리는 문화축제를 펼쳐 왔다.흑석골 당산제는 유교 의식의 절차대로 진행되는데, 전통을 그대로 전수하기 위해 복식을 갖추고 예를 다하여 제를 지낸다. 지신밟기를 시작으로 마을의 공동 우물가를 돌며 사람들은 한 해 건강을 기원한다. 이후 부럼을 나누고 투호와 윷놀이 등 전통 놀이를 체험하며 각자 한 해 소원을 적어 달집과 함께 태운다. 이번 대보름에는 더 풍성해진 전주 곳곳의 대보름 행사에 참여하여 둥글게 차오른 달 아래에서 삼복더위도 팔고, 새해 계획한 목표를 향해 힘차게 출발해 보자.흑석골 만남의 광장 l 전주시 완산구 서서학동 986-6 인근
2023.01.17
#정월대보름
#오목대
#당산제
#부럼원정대
#기접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