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구독신청
기사목록(검색결과 2건)
더 늦기 전에, 지구
포장하지 않아요
용기를 선택한 쌀집 ‘늘미곡’
취향껏 조금씩, 신개념 곡물 가게전주시 중화산동 선너머로에 자리한 ‘늘미곡’은 지구를 생각하는 착한 가게다. 갖가지 곡물을 필요한 만큼만 구매할 수 있고, 지구를 지키는 다양한 친환경 용품을 살 수 있다. ‘늘미곡’은 오래전부터 생각해 온 서늘(33) 대표의 꿈의 공간이기도 하다.“어머니가 20년 넘게 잡곡을 유통해 오고 계시는데요, 한꺼번에 많은 양의 잡곡을 구매하면 신선도를 유지하는 게 문제였습니다. 뷔페처럼 먹고 싶은 잡곡을 그때그때 조금씩 사 가게 하고, 환경에 유해한 포장을 없애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서늘 대표는 해외 파머스마켓(정기적으로 여는 농산물 직거래 시장)을 보며 꿈을 구체화했다. 게다가 몇 년간 기업의 환경기사로 일하면서, 더 나은 환경을 위해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 고민했고, 제로 웨이스트 가게를 열게 됐다. 이곳을 찾는 손님들은 환경에 관심이 많거나, 생활 속 작은 실천을 할 요량으로 오는 사람들이다. 가족단위 손님들도 많고, 익산·담양 등지에서 일부러 찾아오는 사람들도 있다.가게 안에 들어서면 곡물들이 따로 포장되어 있지 않고, 벽면에 부착된 용기에 전시되어 있다. 서리태, 백태, 적두, 수수, 기장, 율무, 찹쌀, 현미 등 종류도 다양하다. 손님들은 신선한 잡곡을 필요한 만큼만 조금씩 사 간다. 곡물을 담아 갈 용기를 가져오면 5%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용기가 없다면 보증금 500원(반납 시 환불)에 생분해 용기를 대여할 수도 있고, 종이봉투를 이용해도 된다.1만 원 이상 구매하면 쿠폰 도장을 찍어 주는데 10개를 찍어 완성하면 3천 원 할인 혜택도 있다. 곡물 옆에는 야자 솔, 유기농 설거지 비누, 유기농 천연 세제 소프넛, 대나무 칫솔, 고체 치약, 대나무 빨대 등 지속 가능한 친환경 용품이 진열돼 있다. 서 대표가 직접 발품을 팔아 오래 쓸 수 있고 이산화탄소 발생이 적은, 환경을 생각한 제품들을 판매하고 있다. 비용도 저렴해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다. 지구를 위해 욕심을 버린 착한 가게‘늘미곡’을 이용하는 손님들 대부분은 시중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신선하다고 말한다.“어머니 가게에서 갓 찧은 곡물을 저렴하게 가져오고 있어요. 영리를 추구하지만 욕심내지 않아야겠다는 생각에 이윤을 적게 남기고 있지요. 손님들에게 환경을 생각하고 실천하는 방법을 공유하는 가치, 그런 공익 목적에 더 집중하고 있어요.”서 대표는 뜻을 같이하는 동료들과 오늘보다 더 나을 내일의 지구를 생각하는 모임 ‘나슬’을 만들어 친환경 용품을 직접 제작하고 있다. ‘늘미곡’ 한편에서 일회용 랩을 대신할 천연 밀랍 다회용 랩을 만들고 있다. 자원 회수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는데, 일반 쓰레기로 버려지는 플라스틱 병뚜껑 30개를 모아 오면 찰보리 500g으로 바꿔 준다. 환경도 생각하고 몸에 좋은 곡물도 생기는 일석이조의 프로젝트다.“손님에게 환경을 생각하는 방법을 안내해야 하니까 분리배출을 잘하고 친환경적으로 가게를 운영하려고 좀 더 노력하는 것이죠. 불편하지만 모두가 조금씩 실천하면 환경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올해 상반기에 환경을 생각하는 협동조합 설립을 계획하고 있다는 서늘 대표. ‘늘미곡’이 더 발전하면 공간을 넓히고, 세제와 화장품 등 대안 용품 리필과 플라스틱 재활용 관련 일을 해보고 싶단다. “녹색 소비가 지구를 살린다.”는 문구가 유독 눈에 띄는 ‘늘미곡’에서 착한소비, 건강한 소비를 해 보면 어떨까. 늘미곡주소 | 전주시 완산구 선너머로 16, 상가 2동 1호문의 | 070-4240-0225
2021.02.23
#제로웨이스트숍
#친환경
#곡물가게
이 가게 가게
우리 동네 쌀집 나이 무려 쉰 살
전주시 미래유산, 중화산동 성수미점
성수 사람이 연 쌀가게, 성수미점가게 이름이 ‘성수미점’이다. 이강덕 씨의 고향이 임실군 성수면인 까닭이다. 그때 당시 성수면에서 전주로 온다는 것은 서울에 가는 것보다도 더 힘들었던 시절이다. 성수면은 아주 골짜기 산골 동네였다. 그 동네에서 유일한 교통수단인 기차는 동네에서 3㎞ 넘게 걸어 나가야만 탈 수 있었다.하루는 동네에 교회 전도사가 찾아왔다. 이강덕 씨도 그 때 처음으로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되었다. 이강덕 씨는 가난한 집안의 7남매 중 장남이었다. 경제력이나 학력이나 어디에 내놓을 만한 게 하나도 없었다. 그런데 그 전도사가 이강덕 씨의 성실한 모습을 마음에 들어 했다. 그 전도사가 나중에 이강덕 씨의 동서가 됐다. 이강덕 씨가 장사를 하고 싶다고 했더니, 장사를 하려면 도회지에서 해야 한다면서 전주에 있는 자기 집 옆방을 빌려주었다. 전주로 이사를 온 이강덕 씨는 1965년 지금 자리에 쌀집을 열었다.짐빠 자전거는 씽씽 달린다1960~1970년대는 모두가 가난했고, 하루 밥 세끼가 절실했던 시절이었다. 이강덕 씨는 자전거 한 대로 장사를 시작했다. 그 당시 ‘짐빠’라고 불리던 쌀 배달 자전거 한 대를 몰고 삼례로, 고산으로, 임실로 사방으로 물건을 가지러 다녔다. 차가 없던 때라 짐빠는 이강덕 씨의 재산 1호였다. 짐빠에 곡물을 가득 싣고 집에 오면, 곡물을 쌀·보리·콩 등 종류별로 조금씩 나누어 놓는다. 그 시절에는 보리를 팔아도 한 되, 두 되 이렇게 팔았다. 외상 거래도 많아서, 한 70~80%는 전부 외상 거래였다. 한번은 어떤 할머니가 밤에 등불을 들고 손자의 손을 잡고 가게를 찾아 왔다. 내일 아침 손자 도시락을 싸줄 쌀을 한 되만 외상으로 달라는 것이다. 말이 외상이지 나중에 쌀값을 못 받을 게 불 보듯 뻔했지만 할머니를 따라온 아이 눈을 보니 차마 그냥 보낼 수가 없었다. 동네 식량 창고 역할을 하는 이강덕 씨 쌀집에는 왕왕 있었던 일이다. 그래도 내가 그 사람들보다야 조금이라도 낫지 싶어 그냥 넘길 때가 많았다.선너머길 유일한 동네 쌀집옛날엔 이곳이 ‘선너머 미나리’라고 불리던 미나리꽝이었다. 성수면에서 맨 처음 이곳으로 왔을 때에는, 방 한 칸에서 장사를 시작했다. 윗목에는 곡물 자루를 죽 늘어놓고, 아랫목에서 셈을 하고 그랬다. 몇 년을 그렇게 지낸 후, 옆방을 얻어서 제대로 모양을 갖춘 게 지금의 가게다. 가게를 조금씩 손을 보기는 했어도 옛날 모습 그대로다. 세월과 함께 살짝 뒤틀린 문짝, 손때 묻어 번질번질한 됫박과 투박하고 무거워 보이는 저울 등 모두 이곳 주인 이강덕 씨와 50년 넘는 세월을 함께 지나온 것들이다. 골목골목 쌀가게, 채소가게가 이제는 하나둘 사라져 가지만 ‘성수미점’은 수십 년 세월 동안 변치 않는 모습으로 꿋꿋하게 동네 길목을 지켜왔다. 얼마 전 이 가치를 전주시 문화자산으로 인정받아 전주 미래유산으로 선정되었다.“오래된 쌀집이라는 것 빼고 무슨 특별한 의미가 있겠어요. 쌀을 팔러 오는 동네 주민들 덕에 큰 도움을 받으며 살았어요. 그분들 덕에 딸 셋, 아들 하나도 훌륭하게 키웠는데, 이렇게 전주시 미래유산으로 선정되는 영광까지 얻게 되었습니다.”언젠가 ‘성수미점’도 문을 닫을지 알 수 없다. 다만, 여든의 쌀집 사장님은 오늘도 동네 손님들을 위해 구석구석 가게를 쓸고, 형형색색의 잡곡을 정갈하게 정리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성수미점주소 | 전주시 완산구 선너머3길 5-14 문의 | 063-284-9276
2020.12.01
#쌀집
#성수미점
#짐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