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산주"에 해당하는 글 4건
온·다라, 궁원록(宮院錄)
온·다라, 궁원록(宮苑錄)
옛 백제의 부흥을 꿈꾸며 후백제 도성
후백제의 왕도, 완산주(完山州)서기 900년, 견훤은 후백제를 건국한다. 완산주(完山州·지금의 전주)에 도읍을 정한 그는 백제 재건을 다짐하며 국가 체제를 정비한다. 후백제는 풍부한 경제력과 강한 군사력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한때 신라의 도읍, 경주를 점령하고, 왕건이 이끄는 고려군을 상대로 공산전투에서 대승을 거두는 등 크게 기세를 올렸으나 930년 고창전투 패배 후 쇠퇴의 길을 걷는다. 오늘날 후백제 왕도의 흔적은 동고산성, 남고산성, 중앙동, 풍남동을 비롯해 노송동과 우아동에서 발견되고 있다. 후백제의 도성을 추정할 수 있는 최초의 자료는 1942년에 편찬된 『전주부사(全州府史)』이다. 또한 옛 고서와 고지도에서 발견된 견훤왕궁지(甄萱王宮址)와 고성벽지(古城壁址)에 내용이 이 일대가 왕도의 핵심 지역임을 알려 준다. 전주에 남아 있는 또 하나의 산성 동고산성 서문지로 향한다. 왕도의 유사시를 대비하여 피난성으로 활용된 동고산성. 1990년 발굴된 이곳은 우리나라에서 발굴·조사된 단일 건물지로는 가장 큰 규모라 한다. 지금은 잡초만 무성하니 허허롭지만 후백제가 자랑하는 철기병이 이곳에서 견훤 대왕에게 승전을 하늘에 알렸으리라.서서히 베일을 벗는 후백제, 도성의 발견동고산성에서 뻗어 나온 도성벽은 오목대와 기자촌, 종광대로 이어진다. 2015년부터 현재까지 후백제 도성으로 판단되는 성벽이 발견된 것. 오목대와 비탈의 경계에는 후백제 토석혼축(흙과 돌을 섞어 쌓는 방식)의 흔적 그리고 오목대로 이어지는 발산 일대에는 암반을 깎아 만든 성벽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도성 안에는 궁성 터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가장 유력한 후보지는 중노송동 인봉리 일대이다.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부터 풍남초등학교를 거쳐 해오름아파트까지 이어지는 사다리꼴의 궁성 벽이 조금씩 실체를 드러내고 있다. 최근엔 아중호수 주변에서 후백제 옛사람들의 무덤 터로 보이는 유적과 성벽의 돌을 캐낸 채석장이, 우아동에서는 토기와 기와를 생산한 가마터가 발견되어 후백제 왕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발맞춰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내에 후백제기념관이 6월 중 개관할 예정이다. 이곳엔 후백제 역사 문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영상콘텐츠와 키오스크가 마련됐다. 옛 후백제의 모습을 가상으로 소개하며, 관람객에게 후백제에 대한 견해를 넓혀 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견훤 대왕의 영정 제작을 위한 고증 작업과 연구도 한창이다. 전주에 잠든 위대한 후백제의 역사, 바야흐로 전주 시대 개막과 함께 서서히 기지개를 켜는 중이다.
2024.04.24
#왕의궁원프로젝트
#후백제왕도
#완산주
전주사람, 전주 10미(味)
아삭아삭 새콤달콤
열무국수
여름의 별미, 열무의 존재감 전주 10味 중 하나인 열무는 전주 동쪽 기린봉 기슭에서 생산되는 것과 전주의 남쪽 완산주와 임실의 경계선에 있는 효간재에서 나오는 것을 손꼽는다. 열흘이면 자라서 먹을 수 있는 ‘여린 무’라서 이름도 ‘열무’인데, 보통 7~8월 한더위에 김치를 담는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열무는 하얀 밑둥도 먹지만 주로 푸릇푸릇한 이파리를 먹는다. 요즘은 하우스 재배로 사철 맛볼 수 있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한여름 뙤약볕 아래 소나기를 맞으며 자란 싱싱한 열무 맛을 따라갈 순 없을 것이다. 이런 열무로 시원하게 물김치를 담가 국수에 말아먹는 열무 물김치는 여름의 열무가 선사하는 시원하고 알싸한 맛이다. 바로 먹어도 맛있고, 익어도 맛있는 열무는 보통 물김치로 많이 담그는데, 이때 중요한 건 국물 양념이다. 보통 발효를 돕기 위해 밀가루풀이나 찹쌀풀을 넣지만 때론 삶은 감자를 갈아서 넣기도 한다. 또한 단맛을 내기 위해 설탕보다는 사과즙이나 배즙을 넣기도 한다. 그래야 국물이 훨씬 깔끔하고 시원하다. 열무김치는 바로 먹으면 아삭아삭 맛있고, 또 잘 익혀 밥 위에 올려 먹으면 밥도둑이 따로 없다. 잘 익은 열무김치를 보면 떠오르는 게 바로 국수다. 빨간 국물이 시원한 물김치에 국수를 말아먹기도 하고, 열무만 따로 해서 비빔국수를 만들어 먹기도 하는데 그래서인지 전주에는 열무국수 맛집들이 상당하다. 여기, 열무국수 주세요! 이른 무더위가 찾아온 요즘, 바깥에 나가면 금세 지치기 마련인데 이때 살얼음이 낀 열무김치국물에 말아먹는 국수 한 그릇은 답답한 속까지 뻥 뚫리게 해 주는 청량한 기분까지 들게 한다. 이가 시릴 정도의 차갑고 새콤한 국물에 쫄깃해진 국수를 말아 후루룩 먹다가, 한 젓가락을 더해 사각사각 씹히는 열무 줄기의 식감도 함께 느껴야 한다. 열무는 사실 비타민, 미네랄, 사포닌 등의 영양성분이 풍부한 채소로 특히 열무에 포함된 베타카로틴 성분은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해서 자양강장에도 영향을 준다. 여름철 시원한 열무국수 한 그릇이면 그 어떤 피로회복제보다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집에서 담그는 열무김치재료열무, 고춧가루, 찹쌀풀, 까나리액젓, 쪽파, 얼갈이, 천일염, 마늘, 생강, 설탕1. 열무와 얼갈이, 쪽파를 다듬고 20~30분 물에 담가 두었다가 3번 정도 살살 씻는다.2. 1에 천일염을 뿌리고 2시간 동안 절여 둔다. (중간에 뒤집는다)3. 절인 열무를 살살 씻고 물기를 제거한 후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다4. 고춧가루와 찹쌀풀, 다진 마늘과 생강, 액젓을 섞어 양념을 만든다.5. 절인 열무와 양념을 살살 버무린다.Tip. 열무를 씻을 때와 양념에 버무릴 때는 최대한 살살해야 풋내가 나지 않는다.
2023.06.23
#열무국수
#기린봉
#효간재
#물김치
전주 문화유산
후백제의 역사가 숨 쉬는 동고산성
전주 완산구 승암산에는 견훤의 숨결이 담긴 귀한 유적지가 있다. 승암산 중턱에 자리한 성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동고산성(전라북도 기념물 제44호)이다.동고산성은 성 내부에 있던 주춧돌만 남은 건물 터다. 발굴 당시 출토된 연꽃무늬 수막새와 암막새에 전주성(全州城)이라 새겨져 있어 후백제 수도의 피난성이나 별궁으로 추측되고 있다.백제 재건의 기치(깃발)를 든 견훤왕은 신라 효공왕 4년(900)에 지금의 전주인 완산주를 점령하고, 이곳에 도읍을 정해 36년간 존속했다. 백제를 계승한 견훤은 건국 당시 국호를 ‘백제’로 칭했다. 당시 나라를 잃어 유민(遺民)의식에 사로잡힌 백성들의 마음을 모아 정통성을 찾기 위해서였다. ‘후백제’란 국호는 후세의 역사가들이 백제와 구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견휜은 풍부한 경제력과 강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영토를 넓혀 나갔다. 일본과 중국에 사신을 보내 후백제의 이름을 알렸고, 관제를 정비해 나라의 기틀을 닦았다. 후백제는 후삼국 중에서 군사력이 가장 강했다고 알려진다. 동고산성은 면적 164,300㎡, 성벽 둘레 약 1,712m로 특히 주건물지는(정면 22칸, 측면 4칸) 우리나라에서 발굴 조사된 단일 건물로는 가장 큰 규모다. 비록 건물은 사라지고 터만 남았지만, 후백제를 세운 풍운아 견훤의 발자취가 시대를 넘어서도 느껴지는 곳이다. 전주시는 도심 곳곳에 산재해 있는 다양한 유적과 문화재를 하나로 이은 ‘왕의 궁원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동고산성은 후백제 시대를 간직한 유적지로 전주가 글로벌 문화관광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복원을 앞두고 있다.'전주성’명 수막새 Ⓒ국립전주박물관
2023.04.24
#후백제
#역사
#전주완산구
#동고산성
뜻밖의 전주
국립무형유산원에서 남고산성까지
후백제의 숨결 깃든 역사의 땅, 남고산성
산성천 돌담길에서 만나는 충경사와 삼경사잘 정비된 산성천 돌담길에는 산성마을 사람들이 심은 호박이며, 오이, 옥수수가 싱그러운 여름 한낮에 졸고 있고, 가재가 살 것 같은 시냇물은 천상의 화음을 내며 흐른다. 녹음 무성한 나무숲이 우거진 길을 시나브로 걸어서 도착한 충경사는 적적하다."선생님, 여기는 누구를 모신 사당이에요?""객사 앞길 충경로에 명명된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이정란 장군을 모신 사당입니다."이정란은 임진왜란 때 전주에서 700여 명의 의병을 모집하여 남고산성과 만경대 등에 복병을 배치해 고바야가의 침입을 막은 공로로 충경공(忠景公)이라는 시호를 얻은 인물이다. 대동사상을 주창했던 조선 시대 혁명가 정여립과 인척 관계다. 정여립의 미움을 받아 한직으로만 내몰렸던 그는 오늘날 전주성 수호의 영웅으로 남아있고, 정여립은 신원도 되지 못한 채 역사 속에 묻혀 있으니, 역사란 그런 것인가?산성천을 따라 조금 가파른 길을 오르다 보니 그림처럼 숨어 있는 절인 삼경사에 이른다. 고덕산의 서북쪽 골짜기를 에워싼 산성인 남고산성(南固山城) 천경대 아래에 자리 잡은 삼경사 들목에는 비녀꽃이라고 불리는 옥잠화가 소담스레 피어 있고, 이 절에는 전북유형문화재 236호로 지정된 목조 아미타여래좌상이 있다.남고산성에서 후백제 견훤을 기리다삼경사를 지나 한참을 걷다 보면 남고산성을 만나게 된다. 남고산성은 동서학동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석축산성으로, 사적 제294호로 지정되어 있다. 둘레는 3,024m로 현재 출입시설인 성 문지와 성안에서 군대를 지휘하기 위하여 만든 건물이 있던 자리인 장대지(將臺址) 등의 방어시설이 남아 있다. 남고산성은 견훤산성(甄萱山城) 또는 고덕산성(高德山城)이라고도 불린다.이 성은 901년에 후백제의 견훤이 도성의 방어를 위하여 쌓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현존하는 성벽은 임진왜란 때 왜군을 막기 위해 수축하였다. 그 뒤 1811년(순조 11)에 관찰사 이상황(李相璜)이 증축하기 시작하여 이듬해에 박윤수(朴崙壽)가 관찰사로 부임한 뒤 완성한 것이다.남고산성 자락 관성묘 부근에 남고진 관아가 있었고 개울 건너에 화약고가 있었다고 하는데 사라진 지 이미 오래고 그에서 멀지 않은 곳에 관성묘가 있으며, 입구에는 하마비가서 있다. '대소인원을 막론하고 이곳에서부터는 말에서 내려 걸어가라'는 하마비를 지나 돌계단 길을 오른다. 나관중이 지은 의 주인공인 관우를 모신 관성묘(관왕묘)가 이 땅에 우후죽순처럼 만들어진 것은 임진왜란 이후부터였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들은 조선과 명나라가 왜군을 물리치게 된 까닭이 성스러운 관우 장군의 덕을 입었기 때문이라며, '싸움터에 관우의 신령(神靈)이 나타나서 신병(神兵)으로 왜적을 쫓아냈다'고 소문을 냈다. 조선 정부에서 곧바로 서울에 남묘, 전라도 전주와 강진, 남원, 그리고 경상도 상주와 경주 등 우리나라 곳곳에 관왕묘를 세우게 됐다. 전라도 관찰사 김성근과 산성별장 이신문의 발기로 1895년에 건립된 관성묘를 5대째 대를 이어서 지키는 주인의 말에 의하면 지금도 여타의 절보다 더 많은 신도가 있어서 관성묘가 유지된다고 한다.만경대에 서서 전주의 넓은 품을 보다남고사로 오르는 성문 옆에 남고진 사적비가 세워져 있고, 조금 가파른 돌계단 길을 오르면 만경대에 이른다. 전주 시가지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봉우리인 만경대에는 동포루가 있었던 곳으로 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만경대(萬景臺): 고덕산(高德山) 북록(北麓)에 있다. 돌 봉우리가 우뚝 솟아 마치 층운(層雲)을 이룬 듯이 보이는데, 그 위에 수십 명이 앉을 만하다. 사면으로 수목이 울창하며 석벽(石壁)은 그림같이 아름답다. 서쪽으로 군산도(群山島)를 바라보며 북쪽으로는 기준성(箕準城)과 통한다. 동남쪽으로는 태산(太山)을 지고 있는데 기상이 천태만상이다."북쪽으로 억경대, 남쪽으로 천경대가 있고, 그 가운데에 있는 만경대는 만 가지 경치를 볼 수 있다는 곳으로 날이 맑은 날에는 군산 앞바다까지 보인다는 이곳에 고려 말의 대학자인 포은(圃隱) 정몽주의 시 한 편이 남아 있다."천인(千仞) 높은 산에 비낀 돌길을 올라오니 품은 감회 이길 길이 없구나. 청산이 멀리 희미하게 보이니 부여국(扶餘國)이요, 황엽이 휘날리니 백제성(百濟城)이라. 9월 높은 바람은 나그네를 슬프게 하고, 백년 호기는 서생(書生)을 그르치게 하누나. 하늘 가로 해가 져서 푸른 구름이 모이니, 고개 들어 하염없이 옥경(玉京)을 바라보네."고려 말에 전주가 본관인 이성계(李成桂) 장군이 지금의 남원시 운봉면(雲峰面) 황산에서 왜구들을 크게 물리친 뒤 전주 동쪽에 자리 잡은 오목대(梧木臺)에서 전승의 기념으로 큰 잔치를 베풀었다. 그때 고려를 뒤엎고 조선을 개국할 뜻을 피력하는 대풍가를 부르자, 종사관으로 함께 참석했던 정몽주가 말을 달려 남고산 만경대에 올라 당시 서울인 개경(開京)을 바라보며 지은 시(詩)가 이 시라는 것이다.그러나 이성계가 양광(충청도)·전라·경상 삼도 순찰사가 되어 왜구를 무찔렀던 때가 1380년이었는데, 정몽주가 그 사실을 알았더라면 이성계가 무사했을 리가 있었겠는가? 당시 정몽주의 마음이 고향을 떠난 지 오래라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것이 아닐까."선생님 저 처음으로 이 남고산성에 올랐어요."염정숙 씨의 말이다. 그럴 것이다. 등잔 밑이 어둡다는 우리네 속담처럼 대부분의 전주 시민들이 이 남고산성을 잘 오르지 않는다."저기 보이는 완산칠봉, 저 산 아래에서 완산주(完山州)에 무혈 입성하여 도읍을 정한 견훤이 크게 외쳤지요."'내가 삼국의 시작을 상고해보니 마한이 먼저 일어난 후에 혁거세(赫居世)가 흥기한 고로 진한과 변한이 이것을 따라서 일어났다. … 당나라 고종이 신라의 요청에 따라 장군 소정방을 보내어 수군 13만을 거느리고 바다를 건너왔고, 신라의 김유신이 권토(卷土)하여 황산을 지나 사비에 이르러 당나라 군사와 함께 백제를 공격하여 멸망시켰다. 그처럼 비겁한 일이 또 어디 있는가. 나는 지금 감히 도읍을 세우려는 것이 아니라 오직 백제의 사무친 숙분(宿憤)을 풀러 온 것뿐이다.'"견훤은 백제의 맥을 잇겠다면서 나라 이름을 백제라고 지었는데, 후세의 사가들이 전 백제 후백제를 나누기 위해 후백제라고 지었지요. 그때가 900년이었습니다.""아하, 견훤의 혼이 서린 곳이 남고산성이로군요."전주 시민들이 전주의 역사 속에 큰 발자취를 남긴 남고산성을 천천히 걸으며 이 땅을 살다간 사람들을 회고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글 신정일 | 문화사학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과 사단법인 우리 땅 걷기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 , 등 여러 책을 집필했다.
2021.08.24
#관성묘
#남고산성
#만경대
#산성천
#삼경사
#충경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