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멋진 하루

아중호수 산책길

가로지르지 않는 풍경의 가치

2019.04

image


아중호수 아침을 걷다
오랜만에 만난 친구와 함께 무작정 호수로 갔다. 아중호수는 처음이라는 그녀는 눈을 감았다 크게 뜨며 말했다.
“와! 작은 바다 같아.”
작은 바다 같은 호수 건너, 아담한 숲이 보였다. 몇 개월 전만 해도 길이 없어 바라보기만 했던 곳. 다행히 이제 갈 수 있는 길이 생겼다. 중간에 산책로가 끊겨 들어갔던 길에서 다시 되돌아 나와야 했던 아중호수는 이제 새 길을 얻으면서 전체를 보여줄 수 있게 됐다. 지난해 12월 0.8㎞ 구간의 산책로가 추가로 개통되면서 2009년부터 10여 년 동안 연결해 오던 2.4㎞ 구간의 생태공원 순환산책로가 완성됐다. 우리는 새로 난 길을 따라 호수 한 바퀴를 돌아보기로 했다. 숲에서 내려다보는 전경이 근사할 것 같았다.
길게 뻗은 나무 데크 위로 나란히 걸었다. 바닥엔 사각형 모양으로 작은 유리창이 나 있었다. 유리 사이로 흐르는 물결이 보였다. 시야는 큰 것에서부터 작은 것으로 점점 옮겨 갔다. 저녁에 산책할 땐 잘 모르고 지나친 것들이 아침엔 더 구체적이고 투명한 풍경으로 다가왔다. 호수도 훨씬 더 푸르고 넓어 보였다. 어디에서 오는 차이일까? 그것은 사람이거나 빛이 아닐까 생각했다. 우리는 오래된 문장 같은 대화를 주고받으며 풍경을 바라보았다.
“밤엔 둘이 와서 좋고, 아침은 혼자여도 밝다.”
중심을 향해 걷다 보면 정류장처럼, 만남의 광장처럼 등장하는 휴식 공간. 아무 말 없이 물결과 풍경을 바라보기 좋은 장소. 우리는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봄노래를 들으며 잠시 숨을 크게 들이쉬었다.


image


가로지르지 않는 풍경의 미덕
모처럼 미세먼지가 걷힌 주말 아침이어선지 꽤 많은 사람들이 호수를 찾았다.
아중호수는 전주에서 가장 큰 눈동자다. 꽃과 풀, 나무와 물을 담은 넓고 푸른 눈동자다. 아무리 퍼내도 마르지 않는 수평선, 거스르지 않고도 전체를 보여줄 줄 아는 하늘이다. 시간에 따라 표정이 바뀌는 계절, 마음 터놓고 얘기하며 걸어갈 수 있는 품이다. 처음과 끝을 연결해 숲을 보여준 유일한 이야기다.
땅 위의 공원이 아니라 호수 위 길을 걷다 보니 사람들의 표정이 더 잘 보였다. 세 사람이 나란히 걸어가면 좋을 길을 앞뒤로 마주 걷고 있으니까. 때문에 호숫가 산책은 서로를 적극적인 타인으로 받아들이는 일 같기도 하다.
이웃 같은 이들은 어떤 모습일까. 작은 라디오를 목걸이처럼 걸고 콧노래 부르며 가는 사람, 반려견과 보폭을 맞추며 인사를 건네는 사람, 아래위로 운동복을 갖춰 입고 전속력으로 달려가는 사람, 벤치를 옮겨 다니며 말없이 물결을 관찰하는 사람, 아이들보다 더 천진한 얼굴이 되어 아이들과 함께 노는 사람….
사람들은 저마다 집중하는 면이 다르지만 아중호수의 새로운 풍경을 구석구석 누비고 싶어 하는 모습은 다르지 않았다. 길이 호수를 가로지르지 않고 하나의 띠처럼 둘레를 두르는 풍경, 달라진 아중호수는 사람과 자연의 풍경을 헤치지 않는 미덕을 갖추고 있었다. 우리가 숲으로 가는 가장 둥근 길로 걷고 있는 것처럼.
중간 지점에는 좀 더 큰 수상쉼터가 보였다. 쉼터엔 미술작가의 재미있는 조각 작품도 설치돼 있다. 날씨가 따뜻해지면 조그만 야외무대로 활용해도 좋을 듯했다. 중간중간 쉬어 가면서 변화된 풍경을 느꼈다. 지루하지 않은 산책이었다.


image


산책하며 마주 보는 자연의 표정
가는 길마다 매화가 피었다. 매화가 오면 봄이라는 말이 떠올랐다. 꽃이 부풀어 올라 팝콘처럼 팡팡 터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이 책을 받아볼 때쯤이면 완연한 봄이 와 있지 않을까. 아중호수 초입부터 벚꽃이 흐드러지게 필 것이다.
숲으로 가는 길, 참억새나 조릿대처럼 질긴 풀과 나무를 클로즈업해 찍어 보기도 했다. 한번 뿌리를 내리면 끝도 없이 번성하는 오랜 식물들. 물에 몸을 담그고 있는 이 내밀한 뿌리들이야말로 호수를 지키는 비밀이라고나 할까. 아중호수의 매력은 빨리 찾아오는 꽃들과 오래 사는 질긴 풀과 나무의 조화에서 오는 것이라 믿고 싶어졌다.
부지런히 걸어온 지 30분, 벌써 반 바퀴 지점에 다다랐다. 조금 높은 돌계단이 보였다. 숲을 볼 수 있다는 생각에 단숨에 올랐다. 돌계단 꼭대기에 오르면 모든 땅이 완만해 보였다. 한 번도 와본 적 없는 이곳엔 편백나무가 무리를 이루어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숨을 깊게 들이쉬고 하늘을 바라보았다.
나무 사이로 보이는 호수는 생각보다 더 아름다웠다. 꽃과 나무와 풀, 물과 숲과 사람이 공존하는 아중호수. 순환산책로가 열리면서 더 많은 사람을 품게 된 풍경이 좋았다. 한 시간으로 여유롭게 한 바퀴를 돌 수 있는 거리. 이제 아중호수는 거의 모든 풍광을 누릴 수 있는 곳이 되었다. 이제 단순한 호수가 아니라 시민들의 쾌적한 삶을 복원하는 공간으로 태어났다. 아중호수는 모름지기 저녁에 와야 한다고 생각했다. 아름다운 야경에 더 이끌리니까. 하지만 햇빛을 받아 반짝거리는 물결을 보자 생각이 달라졌다.
숲에서 내려와 다시 호수를 바라보며 걷는 길. 저수지보다 호수라는 말의 어감이 좋고, 아무 근심 없이 앞만 보고 싶고, 좋아하는 사람과 이곳에서 긴긴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는 말을 아끼면서 나는 걸었다. 계산 없이 펼쳐진 광활한 호수의 풍경, 물결이 풀리듯 마음이 넉넉해졌다.



글 임주아 | 시인
임주아 씨는 시인이자 북큐레이터다. 2015년 광주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최근에는 예술가 친구들과 함께 전주 서노송 예술촌에서 서점 ‘물결서사’를 공동으로 운영하며 시를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