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기획 특집

3·1운동 100주년, 전주 그날의 기억

시민의 기록물로 떠나는 시간여행

2019.03
전주시는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 ‘전주 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실시했다. 이 공모전에는 민족선언서를 포함한 650여 점의 민간 기록물이 접수되었다. 시민들이 기증한 기록물을 통해 뜨거웠던 1919년 3·1운동, 100년의 기억을 만나 보자.

image


독립운동가의 빛나는 활약상 ‘독립혈사’
을사조약 이후부터 8·15까지, 조국 광복을 위해 헌신한 독립유공자들의 활약상을 담은 독립혈사(獨立血史). 1949년 4월 발간된 이 책은 안중근 의사,유관순 열사, 이봉창 의사, 안창호 선생 등 독립운동가의 활동이 기록돼 있다. 기증자 김은성 씨는 이 책을 아버지의 서재에서 발견하여 소장하게 되었다.        
김은성 | 38·전주시 가련산로


image


3·1정신을 밝히노라 ‘민족선언서’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3·1운동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대한민국 정부가 1952년 3·1운동 33주년 기념식에서 발표한 선언서. 대중적 보급을 위해 국한문혼용체(한글토)로 제작 간행되었으며, 이기연 어르신이 그의 부친 고 이정갑 선생에게 1980년 대 초반 물려받아 소장해 온 것이다.
이기연 | 74·전주시 진버들1길


image


일상에서 기억하는 방법 ‘잡지와 숙제장’
잡지나 기념 노트 등은 일상에서 3·1운동을 기억하게 하는 민간 기록물들이다. 오늘날은 이런 민간 기록물들이 보존 가치가 높은 기록물로 인정받고 있다. 형근영 씨가 기증한 1970년 3월 호 <새나라> 잡지는 제51회 3·1절 기념식 사진을 표지로 사용하고 있다. 백성신 씨가 기증한 1980년대 숙제장은 유관순 열사 그림과 문구가 인상적이다.
형근영 | 53·군산시 나운2길, 백성신 | 42·전주시 천잠로


image

김구와 윤봉길의 투쟁사 ‘도왜실기’
1932년 12월 중국 상하이에서 한인애국단의 투쟁상을 중국인에게 알리기 위해 김구 선생이 약술하고 1946년 엄항섭이 한글로 번역하여 간행한 책이다. 이 책에는 김구의 독립운동 활약상, 윤봉길 상해 폭탄 사건의 진상이 실려 있다. 고서 수집에 관심이 많은 기증자 이만호 씨가 소장하고 있던 책으로 전주시 기록물로 보존되기를 희망하여 기증하게 되었다.
이만호 | 62·전주시 서신로


image


우표는 역사다 ‘60주년 기념우표’
우표는 많은 의미를 담아 발행되고 있는 기록물 중 하나다. 우표를 취미로, 또는 연구 목적 및 투자 수단으로 모으는 ‘우표수집가’가 많은 이유도 그 때문. 우표 수집가인 기증자 문정자·신순영 씨도 1969년 3·1절 50주년 기념우표 발행 설명 리플릿과 1979년 발행된 60주년 20원 권 기념우표를 수집, 보관하다 전주시에 기증하였다.
문정자 | 73·전주시 인봉2길, 신순영 | 50·군산시 동지곡길


image


전북 독립운동 산역사 ‘3·1운동과 광복절 자료’
3·1운동에서 평화통일운동에 이르기까지 전북의 항일운동과 통일운동의 역사를 한눈에 만날 수 있다. 전주YMCA가 발행한 신문·광복절 기념 조찬기도회 안내장·리플릿, 전북인권선교협의회가 발행한 전북의 3·1운동 자료집 등이다. 또, 전북지방 3·1운동 일기 및 민족대표 진술 내용이 실린 전북향토문화연구회의 회보인 전북문화 신문도 만날 수 있다.
조정현 | 52·전주시 견훤왕궁로, 이치백 | 93·전주시 안덕원로


image


민족대표 33인의 결의 ‘독립선언서’
민족적 항일운동의 도화선이 된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서 발표. 이 독립선언서를 1981년 3·1정신선양회가 일반인이 알기 쉽게 풀이해 책으로 발간했다. 이 책에는 기미독립선언서의 내용과 전라도 출신 독립운동가 백용성, 박준승 선생 등 민족대표 33인에 대한 소개 글이 담겨 있다.                       
이종근 | 54·전주시 따박골로


image


태극기 휘날리며 ‘3·1운동 태극기’
1980년대 초등학교 앞 문방구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었던 태극기. 기증자 김세신 어르신은 1980년대 3·1운동 기념행사에 사용된 ‘태극기’를 38년 동안 고이 보관해 왔다. 고문서 수집가이기도 한 김세신 어르신은 전주시에 기증한 태극기는 손잡이는 대나무로, 태극기는 종이로 각각 만들어졌으며 총 15점으로 그날의 정취가 지금까지도 살아 있다.
김세신 | 71·전주시 용머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