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특집
내 삶을 바꾸는 전주의 도전
맑은 호수공원으로 돌려드립니다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daum.jeonju.go.kr/data/sys_webzine_list/3740062266_36nuVcLd_fb5cf62ef26c94f3b5c46ea9224a6647a1c78014.jpg" class="txc-image" alt="image" style="clear: none; float: none;" /></p><p><br></p><p><span style="font-size: 14pt;"><b>유서 깊은 전주의 공원 1호, 덕진공원</b></span><br>후백제의 도읍이었던 전주. 덕진연못은 후백제 창업 군주인 견훤이 도성을 방어하기 위해 늪을 조성한 것을 그 시초로 보고 있다. 처음 만들어진 이래 언제나 연꽃이 만발하고 창포가 무성하게 자라났으며, 단옷날 이 창포물에 머리를 감아 건강을 기원하는 것이 오랜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 예나 지금이나 전주에 사는 사람들에게 덕진공원은 소중한 쉼터이자 휴식처로 사랑받아 왔다. 전주 시민이라면 덕진공원에서 나들이 한 번 즐겨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터. 덕진공원은 항상 시민들로 북적거린다. 덕진공원이야말로 시민 추억이 가득한 ‘전주 공원 1호’인 것이다.</p><p><br></p><p><span style="font-size: 14pt;"><b>덕진연못의 ‘깨끗한 귀환’을 준비한 전주시 </b></span><br>이렇게 남다른 의미가 있는 공원이니만큼, 물이 순환되지 않아 썩어 가는 덕진연못을 보며 마음 아파했다. 누구나 연 못 수질 개선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공사 비용만 수백억 원에 달해 쉽사리 손을 대지 못했다. <br>전주시는 2016년부터 덕진연못에 맑은 물결을 되돌릴 수 있도록 환경부에 수질 개선 지원을 건의해 왔다. 특히 김 승수 전주시장이 끈질기게 20여 차례 환경부와 국회에 지원을 요청하고 설득을 진행해 왔다. 지난 8월 13일 비로소 그동안의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환경부가 덕진연못을 ‘국가 중점관리저수지’로 지정하고 국비를 투입하겠다고 밝힌 것.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저 수지 중에서 ‘국가 중점관리저수지’로 지정된 사례는 덕진연못이 최초다. 이에 따라 덕진연못은 2022년까지 250억 원이 투입되는 등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집중 관리를 받게 되었다. 전주시가 3년간 준비해 온 덕진연못의 ‘깨끗한 귀 환’은 이제 시작이다. </p><p><br></p><p><span style="font-size: 14pt;"><b>생태하천 부활, 연화교 재가설 </b></span><br>덕진연못은 앞으로 수질 개선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 립·시행하게 된다. 관건은 ‘연화천’의 부활. 덕진연못 수질 악화의 근본 원인은 산업화를 거치며 이곳에 신선한 물 을 공급하던 ‘연화천’의 물길이 사라진 탓이 크다. <br>전주시는 연화천을 생태하천으로 복원하고, 오염원인 하 수관을 정비해 오염 자체를 사전에 차단할 계획이다. 또 수십 년간 오염 물질이 퇴적된 연못 바닥을 파내 물속 생태계 복원에도 나설 계획이다. 또, ‘호수 공원’의 특징을 살려 시민들을 위한 친수 공간도 폭넓게 확대할 예정이다. 시민과 관광객이 맑아진 물을 직접 살펴보고 접촉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들을 공원 내에 조성할 계획. 덕진공원의 랜드마크인 연화교도 새로 놓는다. 연못 중앙을 가로지르며 놓인 연화교는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진 탓에 철거가 불가피해진 상황. 현재 교량은 철거하고 그 자리에 새 연화교를 놓을 계획이다. 덕진공원을 상징하는 연꽃 문양을 접목해 생태적으로 디자인된 연화교는 덕진공원의 풍광과 어우러져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연화교 재가설 공사는 2020년 말까지 진행된다. <br>풍수와 전설이 깃든 오래된 공원이자 시민들의 놀이 공간, 나들이 공간으로 사랑받아온 덕진공원이 앞으로도 오랫동안 시민들의 ‘공원 1호’로 사랑받길 기대해 본다. </p><p><br></p>
2020.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