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구독신청
기사목록(검색결과 8건)
백년전주
싸전다리와 매곡교
어제와 오늘, 시민의 삶이 이곳에서 교차하다
그림. 정인수 전주천 제일의 다리, 새벽 시장으로 이어져남부시장에서 전주천을 건너 초록바위 옆을 지나 남원과 순창으로 이어지는 큰 다리, 싸전다리. 이 다리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과거 싸전(쌀가게)들이 밀집해 있던 곳에 위치한 다리다. 전통적으로 전주는 곡창지대이자 호남 지방의 수부(首府)로, 쌀을 사고파는 시장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었고, 이곳에서 남부시장으로 오가는 이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싸전다리는 일제강점기인 1922년, 전라북도 최초의 콘크리트 다리인 전주교로 모습을 바꾸었다. 이 다리는 튼튼한 구조 덕분에 1936년 대홍수 때에도 유실되지 않은 유일한 다리였다. 현재의 다리는 1965년에 새로 지어진 것으로, 2000년대 초반까지도 노인들이 즐겨 찾던 쉼터였다. 해방 이후에도 호남 제일의 시장인 남부시장과 함께하며, 시민들은 싸전다리를 전주천을 가로지르는 여러 다리들 중 단연 으뜸으로 여겼다. 싸전다리 아래 전주천 변에는 쌀, 담배, 담뱃대, 나무 땔감, 우시장 등 온갖 물건을 파는 상인들과 손님으로 북적였다. 이러한 전통은 현재도 이어져, 매일 새벽 4시부터 오전 11시까지 초록바위 아래 싸전다리와 매곡교 사이 천변에서 남부시장 새벽 시장이 열린다. 특히, 남부시장이 관광 시장으로 유명해진 요즘, 이곳에서 옛 장터의 정취와 시민들의 활기를 느낄 수 있어 더욱 가치가 크다.1958년 전주사범학교 10회 졸업앨범에 실린 매곡교(위)와 완산교(아래)ⓒ전주시민기록관 제공가난한 이들을 품었던 이거두리 선생을 기억하며싸전다리에서 완산동 방향으로 전주천 하류에 위치한 매곡교 또한 전주의 역사와 함께해 온 다리다. 오래전부터 이곳은 남부시장과 완산동, 전북 서부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길목이었다. 매곡교 일대는 과거 판잣집이 늘어서 있었으며, 담배 가게, 종이방, 주점, 국숫집, 수제빗집, 옷가게, 기름집, 개고깃집 등이 밀집해 있었다. 당시의 매곡교는 지금처럼 널찍하지 않아 사람들이 서로 비켜 가며 걸어야 했지만, 그만큼 정이 넘쳤다. 이 온정의 중심에는 이거두리 선생이 있었다.전주 서문교회 신도였던 이거두리 선생(본명 이보한, 1872~1932)은 이 매곡교와 싸전다리 주변에서 한평생 가난한 자들을 돌본 인물이었다. 그는 전주와 인근 걸인들과 함께 3·1운동과 독립운동에도 참여했다. 선생이 세상을 떠나자, 조문을 위해 모인 사람들로 전주 신작로가 가득 메워졌으며, 만장 행렬이 10리에 이를 정도였다. 싸전다리와 매곡교, 그리고 이거두리 선생의 이야기는 전주 미래유산 43호로 지정되어 그 뜻이 이어지고 있다.과거와 현재를 잇는 다리시간이 흐르면서 매곡교와 싸전다리 주변은 정비되고 재개발되면서 옛 모습이 사라졌지만, 여전히 이곳을 지나가는 사람들에게는 과거의 기억이 아련하게 남아 있다. 싸전다리를 건너던 장사꾼과 매곡교를 오가던 시민들의 발걸음은 이제 한옥마을과 완산꽃동산을 찾는 관광객들의 발걸음으로 채워지고 있다. 싸전다리와 매곡교는 단순한 다리가 아니다. 이곳은 호남 제일의 시장이었던 남부시장의 영화와 전주 사람들의 삶이 켜켜이 쌓인 공간이다. 이 다리를 건너는 사람마다 지난날의 흔적이 스며 있으며, 다리 아래 흐르는 전주천은 전주의 역사와 함께 쉼 없이 흘러간다. 오늘도 이곳을 찾는 이들은 과거와 현재가 맞닿은 다리를 건너며, 새로운 기억을 만들어 가고 있다.
2025.03.21
#싸전다리
#매곡교
#전주천
#남부시장
전주신흥고등학교, 시대의 파고(波高)를 넘어 새로운 100년으로
1930년대 신흥학교(현 전주신흥고등학교) 전경 ◎전주시민기록관 제공호남 최초의 근대식 학교로 문을 열다125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신흥고등학교는 호남 개신교 역사와 함께한다. 1892년부터 미국 남장로회는 호남 지역에 학교와 병원을 세우며 근대적 교육과 의료를 제공하는 데 힘썼다. 그 결과, 1900년 호남 최초의 근대식 교육기관인 신학문당이 설립됐다. 1908년 신학문당은 예수학교라는 이름을 거쳐 ‘새벽에 일찍 일어남’을 뜻하는 신흥(晨興)학교로 변경됐다. 이후 현재 신흥고등학교 강당 자리에 8칸짜리 기와 교사가 신축됐고, 이듬해 첫 졸업생 5명을 배출했다. 초창기에는 열악한 교실과 부족한 교재로 어려움이 많았지만, 학생들에게 기독교 정신에 기반한 인성교육과 근대 학문을 가르치는 데 집중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신흥학교는 전주사람들에게 큰 호응을 얻으며 빠르게 성장했다.1928년, 리처드슨 여사의 지원으로 근대식 본관이, 1936년에는 대강당이 건립됐다. 안타깝게도 1982년 화재로 본관은 소실되어 입구 포치만 남아 있지만, 대강당은 현재까지 그 역할을 이어 가며 둘은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1937년,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저항해 자진 폐교로 맞서다 1946년 해방 이후 미군정청의 인가를 받아 복교하여 오늘날의 신흥고등학교로 이어졌다.그림. 정인수3·1운동을 이끈 민족운동의 발로신흥고등학교는 전주의 3·1운동을 주도하며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에 한 획을 그었다. 일제의 폭압 속에서도 신흥학교는 서양 선교사들의 자유로운 학풍 아래 민족정신을 고취하는 교육을 지속했기에 전주 3·1운동의 중심이 됐다. 1919년 3·1운동 직후, 전주에는 기독교와 천도교를 통해 은밀히 독립선언문이 전달됐다. 서문교회에 도착한 독립선언문은 일제의 삼엄한 감시를 피해 신흥학교 지하실로 옮겨졌고, 학생들은 독립에 대한 열망을 불태우며 밤마다 독립선언문을 등사하고 태극기를 제작하며 거사를 준비했다. 3월 13일, 학생들은 태극기를 채소 가마니에 숨겨 남문시장으로 옮기고 군중에게 배부했다. 낮 12시 20분, 신흥학교, 기전학교 학생, 천도교도 등은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외치며 시가지를 행진했다. 시위는 다음 날 오후 3시까지 이어졌고, 일제는 시위를 주도한 학생들을 체포해 모두 1년 실형을 선고했다. 이 중 3명은 고문으로 옥사했으며, 시위를 지도한 김인전 목사는 이후 상해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 3·1운동을 전개했던 신흥학교의 정신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일제강점기 내내 이어졌다. 1930년 광주학생항일운동에서도 신흥학교 학생 80여 명이 전주 시가지에서 독립만세를 외쳤으며, 30여 명이 수감됐다. 1937년에는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자발적으로 폐교해 일제에 항거했으며 해방 이후 복교되는 수난을 겪었다. 신흥학교의 정신은 해방 이후에도 계속된다. 신흥고등학교로 이름이 바뀌었어도 전주의 조국 수호와 민주화 운동 선봉에는 신흥고등학교가 있었다. 1950년 6·25전쟁 당시 120명의 학도병이 참전해 대한민국을 지켰으며, 호남 최초로 6·25 참전 용사 명패 모교 증정 행사를 가졌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 때는 광주·전남을 제외한 지역에서 유일하게 동조 시위를 진행한 고등학교였다. 전주 근현대사의 굵직굵직한 순간마다 앞장서 헤쳐 나간 전주신흥고등학교! 학교의 교가처럼 “만세, 만세, 만만세”를 외치며 전주와 함께 나아가기를 기원한다.
2025.02.21
#전주신흥고등학교
#호남최초
#근대식학교
#신학문당
#전주3·1운동
전주에 길이 있다
서원로-전주천동로
우리나라의 봄은 3·1절로부터 시작된다
전주에 울려 퍼진 독립 만세 소리우리나라의 봄은 3·1절로부터 시작된다. 일제에 강제로 나라를 빼앗긴 지 10년, 일본의 노예로는 살 수 없었던 우리 민족이 세계의 모든 나라에 우리나라가 독립국임과 우리 민족이 자주민임을 선언하면서 목이 터져라 만세를 불렀던 날이다. 3·1절이 없다면 우리의 봄은 얼마나 참담할 것인가.서울에서부터 시작된 3·1만세운동은 전주에서는 신흥학교(현 신흥중·고등학교)와 기전여학교(현 기전여자중고등학교. 원 이름은 전주여학교였다고 함), 그리고 다가교를 건너 서문교회에서 준비되고 실행되었다. 이 부근은 1900년대부터 기독교 선교부, 학교, 병원, 교회가 모여 있는 호남 지역 기독교 선교의 중심지였다. 이곳에 전주시는 지난해 전주시기독교근대역사기념관을 세웠다. 전주의 만세운동은 천도교와 기독교 두 종교를 통해서 추진되었지만, 천도교 측이 준비하던 운동은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하고 만다. 기독교 측에서는 서문교회 김인전 목사에게 독립선언서가 전달되면서 시작된다. 전주 지역의 만세운동은 김인전 목사의 주도 아래 신흥학교, 기전여학교, 남문교회를 중심으로 계획된다. 신흥학교 지하실 등에서 학생들은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인쇄한다.부끄럽지 않은 이름을 새긴 전주의 그날만세 거사일은 장날인 3월 13일(음력 2월 12일). 이날 아침 비밀리에 인쇄된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는 채소 가마니에 담겨져 다가교를 건너, 전주천동로를 따라 은밀하게 남부시장까지 운반된다. 지금은 그저 수양버들 우거진 도로에 불과한 이 길을 따라 학생들의 목숨을 건 태극기 운반 작전이 이루어졌던 것이다. 풍남문 종루에서 정오를 알리는 종소리를 신호로 만세 시위가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150여 명으로 시작되었으나 장을 보러 왔던 군중들이 합세하면서 그 규모는 더욱 커졌다. 신흥학교와 기전여학교 학생 그리고 기독교 신자들을 중심으로 한 시위는 전주 시내를 돌며 4월까지 계속되었다. 시위의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구금되고 투옥되었지만, 전주는 이날의 거사로 민족사에 부끄럽지 않은 이름을 새기게 되었다. 처음 만세가 시작된 남부시장 전주천동로 쪽에 2000년 3월 1일 ‘전주 3·1운동 발상지’라는 비석을 세워 이날의 외침을 기억하고 있다. 선교 역사가 한자리에 기독교근대역사기념관서원로는 옛 화산서원이 있던 길이라는 뜻으로 붙인 이름이다. 선교사들의 사택이 있던 서원로 화산 언덕에는 선교사와 가족 17인의 묘역이 조성되어 있다. 묘역 아래쪽에 지난해 전주시기독교근대역사기념관이 문을 열었다. 이곳에서 일제강점기 3·1운동을 주도했던 선교사들의 활동과 선교 역사를 만날 수 있다.3·1운동의 횃불을 밝히다, 전주 서문교회서문교회는 호남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이다. 옛 전주성의 서문 밖에 건립되었기 때문에 ‘전주서문밖교회’라고 부르다가 1995년 ‘서문교회’로 개칭하였다. 이곳은 전주 3·13만세운동을 총지휘한 독립운동의 상징적 인물인 김인전 목사가 담임으로 있던 교회이다. 서문교회 경내에 있는 김인전 목사 기념비는 1986년 4월 다가공원 입구에 세워진 것을 2015년에 옮긴 것이다. 또한, 교회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종탑(1908년)이 남아 있다. 종은 일제 말기(1944년)에 강제 공출되어 해방 후(1945년) 다시 제작되었다.특별한 기념 승강장, 3·1운동 100주년 기념 승강장기독교근대역사기념관에서 전주천으로 내려오면 전주 학생들의 독립운동을 주도한 신흥중·고등학교가 있다. 학교 정문 앞에 ‘3·1운동 100주년 기념 승강장’이 있는데, 1919년 당시 신흥학교 학생들의 3·1 독립만세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승강장 천장과 벽면은 당시 태극기를 제작하던 신흥학교 지하실을 모티브로 하여 3·1운동이 우리가 이어받아야 할 정신적인 유산임을 표현하였다.약령시 옛 영광 되찾자, 약전거리약전거리는 한약재를 파는 거리를 말한다. 약전거리는 전라감영에서 완산교에 이르는 구간인데, 과거 이곳에서 열리던 약령시(한약재 시장)는 우리나라 3대 약령시 중 하나였다. 전주 약령시는 1900년대 초에 폐지됐다가 1923년 재개되었지만, 다시 1943년에 일제에 의해 폐지되었다. 이곳에는 지금도 한의원과 한약국, 약재상들이 남아 있다.독립의 꽃망울을 터트리다, 남부시장신흥중·고등학교에서 다가교를 지나 동쪽으로 걷다 보면 남부시장을 만날 수 있다. 남부시장은 100년 전 자주독립의 희망을 지폈던 시민의 광장이었다. 1919년 3월 13일, 남문에서 울린 인경 소리를 신호로 천도교, 예수교인, 신흥학교 및 기전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남부시장부터 태극기를 들고 일제히 “대한민국 만세”를 부르짖으며 만세 시위를 벌였다. 학생들 손에서 장꾼과 지게꾼, 시민들의 손으로 태극기가 전해졌고, 독립선언서가 우렁차게 낭독되었다. 이를 기념하여 남부시장 전주천동로 쪽에 ‘전주 3·1운동 발상지 기념비’가 세워졌다.시민의 함성이 하나 되다, 풍남문 남부시장 중앙에는 전주부성의 남쪽 출입문, 풍남문이 자리하고 있다. 전주부성에는 4개의 문이 있었는데 1911년에 풍남문을 제외한 세 곳(동·서·북문)과 성벽을 일제가 시가지를 확장한다는 이유로 허물어 버렸다. 남부시장의 중심인 풍남문에서 독립의 봄을 열망하는 시민 주도의 3·1 만세운동이 전개되었고, 일제는 태극기를 손에 든 시민들에게 총을 발포했다.
2023.02.27
#3·1절
#기독교근대역사기념관
#3·1운동100주년기념승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