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구독신청
기사목록(38건)
잘 고쳤다 이 집
동네 목욕탕이 복합문화공간이 되다
기린토월
여탕은 카페, 남탕은 갤러리남노송동의 조용한 주택가에 있는 3층 건물. 외벽에는 ‘호수옥사우나’라는 글씨가 보이고, 건물의 입구에는 ‘남노탕’이라는 옛 이름도 희미하게나마 남아 있다. 그리고 입구 오른편에 자그마하게 ‘기린토월’이라는 새 이름표가 붙어 있다. 문을 통과하면 곧바로 2층으로 통하는 계단이 나오고, 계단의 오른편에는 카페가 있다. 1층은 매표소와 여탕이 있던 자리. 여탕을 개조한 카페 내부가 신기하고 독특하다. 당시 목욕탕의 모습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뜨거운 물이 남실거리던 온탕과 열기로 채워졌던 사우나 등이 사람들이 차를 마시고 담소를 나누는 공간이 되었다. 남탕이었던 2층은 갤러리로 사용하고 있다. 갤러리에서는 8월 31일까지 ‘오른손잡이가 그린 왼손 그림’전이 열린다. 이 전시를 통해 김정배 교수의 시적 단상과 왼손 그림 작품이 사람들과 만난다. 교습소로 쓰이는 3층을 지나 옥상으로 가면 이 낡은 건물이 품고 있는 매력이 도드라진다. 손을 뻗으면 산자락이 만져질 듯 기린봉이 가깝다. 전주 10경 가운데 하나인 기린토월(麒麟吐月, 기린봉 위로 떠오르는 아름다운 달)을 볼 수 있는 곳. ‘기린토월’의 김지훈 대표도 이 건물에서 바라본 풍광에 반했다. “겨울에 왔을 때 옥상에서 기린토월을 봤어요. 그래서 저 달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다고 생각했어요.”라고 이야기한다. 기린봉과 달이 잘 보이는 옥상은 공연을 할 수 있는 휴식 공간으로 꾸밀 예정. 동네 사람들의 사랑방이 되고 싶어공간 기린토월은 지난 6월에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 그사이에 사귄 이웃이 제법 많다. “카페에 있는 작은 화분은 앞집 할머니가 선물로 가져오셨어요. 뒷집 할아버지는 개소식 날에 돈을 건네기도 하셨죠. 파전을 가져다주는 분도 계시고, 장사 안돼서 빨리 망할까 봐 걱정해 주시는 분도 많아요.” 카페는 대개 젊은 층이 많이 찾지만, 김지훈 대표는 이 공간이 기린봉 아랫동네 주민의 사랑방 역할을 하길 바란다. 그래서 예전 목욕탕이나 사우나를 운영할 때에 팔던 냉커피를 판다. 당시 벽에 붙어 있던 메뉴판도 고스란히 남겼으며, 커피 값도 예전 그대로 1,000원이다. 단, 65세 이상의 동네 주민만 마실 수 있는 아주 특별한 메뉴. 앞으로 냉커피와 함께 팔던 바가지커피도 추가할 예정이다. 기린토월주소│전주시 완산구 마당재2길 75문의│0507-0465-8074
2020.09.08
#남노송동
#목욕탕
#카페
#갤러리
당신과 더불어
세상에 하나뿐인 그림을 그립니다
로컬 일러스트레이터, 박성민
로컬 일러스트레이터라는 직업이 생소한데, 자기소개를 부탁드릴게요. 고등학교 때부터 그림을 그렸고, 대학에서 애니메이션을 전공하면서 웹툰을 그리다가 삽화에 더 끌려 '로컬 일러스트레이터'가 되었습니다. 로컬 일러스트레이터는 지역을 뜻하는 '로컬'과 삽화를 그리는 사람을 뜻하는 '일러스트레이터'를 더한 말입니다. 전주에 숨어 있는 추억의 건물들을 그리고 있고요, 지금은 낭만이 가득한 남부시장 청년몰에서 '감성민작화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로 어떤 작업을 하시나요?삽화는 책에 들어가는 그림을 말합니다. 제가 그리는 그림은 나중에 제가 책을 낼 생각으로 그리고 있는 것입니다. 요즘은 그림보다 사진에 더 친숙한 세상인데요, 사진이 보이는 것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으로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사실 초점에서 멀어질수록 왜곡이 생깁니다. 그런 점에서 그림이 작가가 보여 주고 싶은 장면과 공간의 추억과 감성을 더 잘 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요새 주로 그리는 작업은 '오래되고 예쁜 전주의 공간들'과 구도심의 소소한 풍경들, 전라북도의 명소들입니다. 구상부터 완성까지, 삽화 작업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일상에서 만나는 공간, 소문을 듣고 찾아가는 공간 모두 제 작업의 대상입니다. 제 주관적인 기준으로 장소를 정하면, 반복적으로 여러 번 찾아갑니다. 같은 공간이어도 시간에 따라 공간이 주는 느낌이 달라서, 여러 번 방문해서 사진을 여러 번 반복해서 찍고 있습니다. 작화실로 돌아와서는 제가 전달하고자 하는 데 불필요한 요소들을 걷어 내고 안정적인 구도를 잡고 그림을 그리는데, 엽서 정도 크기의 삽화 한 작품을 사나흘 정도 그립니다. 채색하지 않은 작품을 주로 그리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제 삽화의 가장 큰 특징은 채색하지 않은 흑백의 그림이라는 것입니다. 색을 빼고, 가장 단순한 선만으로 공간을 표현하는 것이지요. 채색을 부러 하지 않는 이유는 같은 공간이어도 계절별로, 시간대별로 다르게 보이는 것을 표현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그 공간의 색깔이나 감성은 보는 이들의 상상력으로 충분히 되살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같은 덕진공원이라도 누군가에게는 흐린 날의 기억, 또 다른 이에게는 뜨거운 땡볕으로 기억이 다를 테니까요. 앞으로 계획이나 목표가 있다면 알려 주세요. 최근 들어 수작업과 함께 디지털 작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보관이 어려운 수작업과 세밀한 표현이 어려운 디지털 작업을 보완하기 위한 과정이지요. 앞으로 시간이 흘러 제가 중견 작가가 되면 지금 그린 그림들을 저작권 없이 전주시민들께 제공할 계획입니다. 제가 그린 그림들이 많은 사람들한테 전주의 아름다운 추억을 되살리는 매개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기 때문입니다. 감성민작화실 남부시장 청년몰에 있는 '감성민작화실'은 박성민 일러스트레이터의 작업장이자 작은 갤러리이다. 작가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감성'에 본인 이름인 '성민'을 더해 '감성민작화실'로 이름 붙였다. 1,000원짜리 엽서에서부터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액자 형태의 그림까지, 박성민 작가의 다양한 그림을 구매할 수 있다. 작화실은 오전 11시부터 저녁 6시까지 운영되며, 매주 월요일은 휴무다. 블로그 │ blog.naver.com/sensitive-min 인스타그램 │ instagram.com/sensitive_minute
2020.09.02
#전주사람
#로컬일러스트레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