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당신과 더불어

무대 위에서 울고 웃었다

창작극회 박규현 대표

2021.04
창작극회는 전북에서 가장 오래된 극단으로 지역 연극의 성장과 맥을 이어 오고 있는 단체다. 긴 세월 부침(浮沈)도 있었지만 꿋꿋하게 제자리를 지키며, 다양한 창작극을 선보여 왔다. 그 중심에서 무대를 지키며, 연극인들의 꿈의 무대를 만드는 사람이 있다. 연기자에서 연출가로, 창작극회와 소극장을 이끌어 가는 대표로 활동하고 있는 박규현 씨를 만났다.

image


창작극회의 인연이 궁금합니다.
군 제대 후 평범한 직장인으로 살았어요. 어느 날 우연히 동문 거리를 걷다가 창작소극장을 알게 됐습니다. 평소 연극에 관심이 있었는데, 인연이 되려고 했는지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뭐에 홀렸던 건지 ‘연극을 해야겠다’라는 생각이 들었고, 2002년 늦은 나이에 연극배우가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항상 무대에서 살았던 것 같습니다. 그러다 2015년 창작극회 대표가 되었습니다. 내로라하는 선생님과 선배들이 이끌어 온 창작극회 대표가 됐다는 중압감이 컸지만, 무대 위의 삶을 살 수 있어 행복했던 시간이었습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무척 힘든 시기를 보내고 계시죠?
모두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문화예술계는 정말 고난의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특히 무대공연은 관객과의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코로나19로 제대로 된 공연이 이루어질 수 없었고 공연이 중단되니 재정적인 어려움이 컸습니다. 공허함과 무기력증을 호소하는 단원들도 있었고요. 무엇보다 작년에는 창작소극장이 개관 30주년이었는데,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하반기에 코로나19가 조금 안정되면서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에 무대에 올렸던 의미 있는 3개 작품을 선보일 수 있었습니다.


지난해 천인갈채상을 수상하셨어요. 늦었지만 축하드려요.
전혀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천 명의 시민들이 상금을 모으고 직접 투표해 수상자를 정하는 상이라 무엇보다 의미가 크다고 생각해요. 아무래도 20년 동안 ‘연극’이라는 한 우물을 팠던 것에 대해 심사위원들과 시민들이 높이 평가해 주신 것 같습니다. ‘아, 이 사람이 한곳에서 꾸준히 무언가를 했고 또 하고 있구나’라고 인정과 지지를 받는 것 같아 정말 기뻤습니다. 한편으론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무게감도 느꼈고요.


연기를 하시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은 무엇인가요?
20년 동안 숱한 작품을 만났는데요, 그중에서 박동화 선생님의 작품 <나루터>가 제일 기억에 남습니다. 제가 처음으로 주연을 맡은 작품이거든요. 이 작품은 지난해 서울에서 열린 ‘제5회 늘푸른연극제’ 무대에 올린 작품이기도 합니다. 늘푸른연극제는 연극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원로 연극인들의 업적을 기리는 축제인데요,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창작극회가 참여하게 되었고, 의미 있는 무대에 설 수 있어 기뻤습니다. <나루터>는 공적으로나 사적으로나 저에게 특별한 작품입니다.


끝으로 올해 특별하게 준비한 계획이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올해는 창작극회가 창립된 지 60년이 된 해입니다. 어떤 작품을 해야 ‘60’이라는 의미를 가장 빛낼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현재 작품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8월에 60주년 기념 공연을 올릴 예정입니다. 한국소리문화의전당과의 협력으로 큰 무대에서 많은 분들과 만나게 될 것 같습니다. 지금은 5월 초 공연과 하반기 다른 지역 연극제에 참여할 예정이어서 어느 때보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쁘게 보내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공연장에 방문하는 게 쉽지 않겠지만, 무대를 지키는 배우들을 기억해 주시고 지역 연극에 많은 관심을 가져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창작극회
전북을 대표하는 가장 오래된 연극 단체이다. 1961년 전북대 극예술연구회가 중심이 돼 탄생한 창작극회는 전북 연극의 대부로 불리는 극작가이자 연출가인 박동화 선생이 초대 대표를 맡았다. 1964년 <두 주막>으로 전국연극경연대회 최우수상을 받았으며, 2019년 대한민국 연극제에서 <아부조부(我父祖父)>로 은상을 수상했다. 올해 창립 60주년을 맞아 <천사는 언제나 그 자리에>, <이런 젠장>, <나루터> 등 작품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