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전주 밖 전북

전주에서 익산까지

만경강 따라 흐르는 문학의 숨결

2021.02
전주천은 만경강을 낳았고 만경강은 호남평야를 낳았고 호남평야는 우리를 낳았다. 소살소살 흐르는 전주천의 기운 때문일까? 생생불식(生生不息)의 생명력으로 호남평야를 살찌웠다. 손바닥 위의 손금처럼 갈대밭 사이를 지류들이 흐른다.

image


가래여울에 어린 풍패지향의 글 읽는 소리
전주천은 만경강과 만나 이름을 지운다. 자식에게 자신을 주고 사라지는 어머니처럼. 전주천은 자신의 분신인 만경강으로 몸을 바꾸어 호남평야를 골고루 적시며 서해로 흐른다. ‘만 개의 고랑이 입을 대고 곡식을 키워서 만경’이라 했던가. 만경강 여행은 자식들을 키우느라 홀쭉해진 어머니의 지극함을 배우는 여행이다.   
한벽루에서 흘러온 전주천은 추천대 앞에서 삼천과 만나면서 만경강이 될 준비를 한다. 이곳을 ‘두물머리’라 하지 않고 ‘가래여울’이라 한 것은 그만큼 물살이 세기 때문이다. 가래여울에는 삼각주가 형성되어 물고기 서식지로 그만이다.
전주에서 만경강을 가려면 추천대부터 시작하는 것이 옳다. 전주시 팔복동에 자리한 추천대는 조선 시대 선비 추탄 이경동을 기리는 정자다. 정자 앞을 흐르는 강을 ‘추천(가래여울)’ 또는 ‘가르네’, ‘가리네’라 불렀다. 냇물이 갈라진다는 뜻이다. ‘용산다리’를 ‘추천대교’라 부르는 것도 같은 이유. 추천의 ‘추(楸)’는 호두나무의 일종인 가래나무 ‘추’다. 이곳에선 전주천의 물이 가래나무의 잎처럼 짙은 초록색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초록빛 강물에 손을 담그면 마음도 초록빛으로 물들 것 같다.


image


전주천 벚꽃 잎은 강물에 떠가고
추천대교에서 팔복동을 거쳐 만경강까지 이어지는 길의 이름은 ‘전주천 벚꽃길’. 평소에는 2차선 좁은 길로 대형 트럭이 지나가지만, 벚꽃이 피는 계절엔 풍광이 그만이다. 전주천을 옆에 끼고 달리다 보면 만경강이 나타난다. 익산으로 출퇴근을 할 적에는 이 운치 있는 길을 보려고 일부러 돌아가기도 했다.
만경강은 운장산 기슭에서 발원하여 완주와 진안을 지나 고산천과 소양천으로 흐르다가 삼례에 이르러 소년기를 마친다. 만경강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는 건 삼례부터다. 전주천과 만나는 순간 만경강은 수많은 아명(兒名:어릴 때 부르는 이름)을 버리고 제 이름을 얻는다. 강의 성년식이 이뤄지는 곳, 삼례 비비정이다.
비비정(飛飛亭)은 완산 8경 중 하나인 비비낙안(飛飛落雁)으로 유명한 정자다. 갈대밭 사이 강물에 기러기가 내려앉는 풍광이 아름답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예전엔 황포 돛을 단 목선이 수시로 오갔다. 김소월의 시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에서 그린 풍경이 비비정의 모습이었던 것. <춘향가>에서 이도령이 ‘꼭 보고 가리라 노래 불렀던 장소’이기도 하다. 기러기가 내려앉는 풍경은 사라졌지만, 만경강을 가로지르는 구 철교 위에는 ‘열차 카페’가 자리하고 있다.
소설 속 이몽룡이 연인을 만나기 위해 건넜던 만경강을 19세기 초에 동학농민군들이 건넜다. 서울 진공 작전을 위해 동학 접주들이 모임을 가졌던 곳, 우금치 전투에서 패퇴한 후 동학농민군들이 뿔뿔이 흩어진 곳도 이곳이었다. 전봉준은 후일을 기약하며 비비정 앞에서 동지들과 헤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믿었던 동지의 밀고로 체포된 전봉준은 만경강을 건너 압송된다. 시인 안도현은 만경강을 건너는 전봉준을 상상하며 시를 썼다. 그의 등단작 <서울로 가는 전봉준>이다.


눈 내리는 만경 들 건너가네
해진 짚신에 상투 하나 떠가네
가는 길 그리운 이 아무도 없네
녹두꽃 자지러지게 피면 돌아올거나
울며 울지 않으며 가는
우리 봉준이
풀잎들이 북향하여 일제히 성긴 머리를 푸네
그 누가 알기나 하리
처음에는 우리 모두 이름 없는 들풀이었더니
(…하략…)

안도현, <서울로 가는 전봉준> 중


image


봄이 오는 나루터에 버들개지는 아니 피고
역사의 흐름을 아는 것일까? 비비정을 지나면서부터 강은 멀고 깊어진다. 오롯이 서해로 흐르는 것에 집중한다. 강둑으로 나란히 뻗은 강변길은 봄에는 벚나무가 화사하고, 가을에는 억새의 군락이 물결친다. 성숙해진 수량만큼이나 풍광도 좋아서 여유가 있으면 자전거 트래킹이 좋고, 드라이브도 근사하다. 왕궁에서 흘러온 익산천이 합류하면 여기서부터가 춘포다.
춘포의 옛 이름은 ‘봄개나루’. 봄이 오는 나루터다. 춘포에서부터 만경강은 중년기에 이른다. 원숙해진 강은 갈대의 무리를 이끌고 노을의 나라로 간다. 슬픔의 지도가 있다면 춘포에서 목천포에 이르는 지역이리라. 만경강변 억새들이 성긴 머리칼을 풀고 바람에 스적이는 것을 보면 왜 이곳을 ‘노화십리(蘆花十里)’라 불렀는지 알 수 있다. 겨울 햇볕에 흐느끼는 억새의 무리와 함께 저물녘까지 있고 싶다. 근처에 있는 ‘춘포 문학마당’은 원고지 모양의 표지판이 인상적이다. 강변을 따라 늘어선 문학비로 이뤄진 춘포 문학마당은 시조 시인 이병기, 시인 정양, 시인 안도현, 소설가 윤흥길의 작품을 돌에 새겨 거리를 두고 세웠다. 예전에 목천포 다리는 만경강을 오가는 가장 큰 다리 중 하나였다. 지금은 사라진 이 다리는 윤흥길의 소설 <기억 속의 들꽃>에 등장한다.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이 작품은 비행기 폭격으로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된 피난민 소녀와 강가 마을에 사는 소년의 사랑, 그리고 슬픈 전쟁의 상처에 관한 이야기다. 이 이야기는 아직도 우리 삶에서 끝나지 않은 채 지속하고 있다.


“교각 바로 위, 무너져 내리다 만 콘크리트 더미에 이전에 보이지 않던 꽃송이 하나가 피어 있었다. 바람을 타고 온 꽃씨 한 알이 교각 위에 두껍게 쌓인 먼지 속에 어느새 뿌리를 내린 모양이었다. ‘꽃 이름이 뭔지 아니?’ 난생처음 보는 듯한, 해바라기를 축소해 놓은 모양의 동전만 한 들꽃이었다. ‘쥐바라숭꽃……’ 나는 간신히 대답했다.”

윤흥길, <기억 속의 들꽃> 중



만경강은 만개의 고랑에 물을 흘려보내며 서해로 간다. 유난히 풍요로워서 빼앗길 것이 많은 전북의 마른땅을 적시며 사람들의 마을을 지나 흘러간다. 이 강물을 탐내어 일제는 둑을 쌓고 퍼 가려 했다. 동상면에서 발원하여 고산천과 전주천이 합수하고 익산천을 만나 서해를 향해 무장무장 흘러가는 강을 두고 누가 감히 주인을 자청할 것인가. 누구의 것도 아닌 우리 모두의 어머니 강, 만경강이다.


image


글 박태건 | 시인
익산에서 태어나 전주에서 자랐다. 1995년 ‘전북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후 대안 문화연구소에서 지역문화 연구를 했다. 시집 <이름을 몰랐으면 했다>, 산문집 <익산 문화예술의 정신>을 냈다. 2020년 전북작가회의의 ‘불꽃문학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