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특집
우범기 전주시장 인터뷰
강한 도시에서 위대한 도시로, 더 큰 꿈을 꿉니다
<p class="center"><img src="https://daum.jeonju.go.kr/_data/sys_webzine_list/1761183492_B0a-dRPrhQ3GmTtA6Sjd143KtQTAkeOw9KIGNEDIs68f98704.jpg"></p>
<p><br></p>
<p>존경하는 전주 시민 여러분,</p>
<p>어느덧 한 해의 마무리를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p>
<p><br></p>
<p>3년 전 민선 8기 전주시는 전라도의 수부였던 전주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강한 경제, 다시 전라도의 수도로’라는 슬로건으로 힘차게 출발했습니다.</p>
<p><br></p>
<p>어느 도시보다 찬란한 문화 자산을 가지고 있지만, 경제적으로 뒤처진 상황을 타개하지 않고서는 미래를 이야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정치·경제·사회구조에서 전주가 가야 할 길에 대해 깊이 고민하며 도시 성장을 저해하는 해묵은 난제의 해법을 모색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드는 데 주력했습니다.</p>
<p><br></p>
<p>가장 시급했던 것이 전주 종합경기장 개발이었습니다. 드디어 올해, 지어진 지 60년이 넘은 <b style="font-size:1.05em;color:#111;">종합경기장을 철거하고 마이스(MICE) 복합단지 조성을 위한 첫 삽</b>을 떴습니다. 컨벤션센터 이야기가 나온 지 20여 년 만의 일입니다. 그간 전주시는 컨벤션센터가 없어 대규모 국제대회나 행사 등을 유치할 기회를 놓쳤고, 일회성 행사장 설치와 철거에 막대한 예산을 들여야 했습니다. 이제 2028년이면 컨벤션센터가 없어 겪었던 설움과 답답함을 떨치게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지난 9월시민들을 모시고 축제처럼 열린 컨벤션센터 기공식은 단순히 건물 짓는 것을 알리는 자리가 아니라 전주 대변혁이 시작되는 의미 있는 순간이었습니다.</p>
<p><br></p>
<p>옛 대한방직 부지도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이 완료되어, 내년 초까지 철거공사를 마무리하고 본 개발에 착수할 예정입니다. 사업계획서 사전 협의를 신청한 지 7년 4개월여 만입니다. <b style="font-size:1.05em;color:#111;">대한방직 부지에 시작되는 전주 관광타워복합개발 사업</b>은 주거단지 조성을 넘어 관광, 문화, 상업, 공공 기능이 어우러진 신도심복합개발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주시의 또 하나의 랜드마크가 될 것이고, 일자리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p>
<p><br></p>
<p>도심 속 흉물로 남아 있던 <b style="font-size:1.05em;color:#111;">옛 금암고 건물도 폐교 15년 만에 철거</b>됩니다. 금암고는 폐건물이 장기간 방치되면서 도시 미관을 해치고 안전에 대한 우려도 컸습니다. 그래서 전주시는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사업에 도전했고, 지난해 9월 ‘우리동네살리기’ 공모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금암고 자리에는 공원과 산책로가 조성될 예정이며, 노후 주택과 골목길이 정비되고 주민공동이용시설도 건립되는 등 구도심도 하나씩 탈바꿈할 것입니다. </p>
<p><br></p>
<p>전주한옥마을 덕분에 전주시는 1년에 1,500만 명이 찾아오는 대한민국 대표 관광 명소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한옥마을에만 머물 수 없습니다. <b style="font-size:1.05em;color:#111;">왕의 궁원 프로젝트를 통해 역사와 문화 자원을 새롭게 배치해 전주 전역을 살아 있는 궁원으로 만들 것입니다.</b></p>
<p><br></p>
<p>건지산은 조경단 국가문화유산 사적 승격 절차 진행과 함께 역사적 상징성과 치유 기능을 결합한 복합형 숲 공간으로 조성하고, 덕진공원은 수질 개선과 생태 환경 정비, 열린 광장 조성으로 즐기며 경험할 수 있는 힐링 공간이 됩니다. 아중호수 역시 야간경관과 콘텐츠를 강화하고, 레저와 휴양 시설을 갖춰 머물고 싶은 공간으로 조성할 것입니다. 새로운 100년을 향한 전주의 발걸음이 바빠지고 있습니다. 오래된 과제들이 해결되고, 낡은 것은 새로워지고 있습니다. 전통문화도시에 머무르고 있는 전주의 정체성도 달라질 것입니다. 전라도의 수부를 넘어 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이는 도시로, 전주가 더 큰 꿈을 꿉니다.</p>
<p><br></p>
<p>2025년 11월</p>
<p><b>전주시장 우 범 기</b></p>
<p><br></p><p><br></p>
2025.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