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특집
전주 도시재생 어떻게 진행되나요?
닻 올린 전주형 도시재생, 전주가 더 달라집니다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daum.jeonju.go.kr/data/sys_webzine_list/3740062266_vnOJBtlo_748bc2faa92e1beb3afb3a4b642be678ba4b65c1.jpg" class="txc-image" alt="image" style="clear: none; float: none;" /></p>
<p><br></p>
<p><span style="font-size: 14pt;"><b>전주 전통문화 중심의 도시재생</b></span><br>구도심 100만 평 아시아 문화심장터 프로젝트의 핵심 사업인 ‘전주 전통문화 중심의 도시재생사업’. 오는 2020년까지 중앙동과 풍남동, 노송동 등 구도심 일원에 1,056억 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다. 구도심의 심장에 풍패지관이 복원되며, 전라감영 1단계 복원, 철저한 발굴 조사를 바탕으로 한 전주부성 일부 복원, 역사도심 재생, 독립영화의 집 건립 등 굵직굵직한 사업들이 진행된다. </p>
<p><br></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daum.jeonju.go.kr/data/sys_webzine_list/3740062266_i24fleX5_78c2104ca8f8438eea754b628993e02ac18913e9.jpg" class="txc-image" alt="image" style="clear: none; float: none;" /></p>
<p><br></p>
<p><span style="font-size: 14pt;"><b>용머리 여의주마을 도시재생 뉴딜사업</b></span><br>2018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선정된 용머리 여의주마을은 노후 주택을 정비하고 마을 내 주차장과 진입로 등 기초생활 인프라를 확충해 주민들의 생활 여건을 대폭 개선할 계획이다. 또, 행정과 주민 간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마을 현장에서 주민공동체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용머리 여의주마을 현장지원센터가 문을 연다.</p>
<p><br></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daum.jeonju.go.kr/data/sys_webzine_list/3740062266_Wuz85fjK_325e7966532d5782a5467bc91bec7e33027043ae.jpg" class="txc-image" alt="image" style="clear: none; float: none;" /></p>
<p><br></p>
<p><span style="font-size: 14pt;"><b>팔복예술공단과 팔복청년공단</b></span><br>팔복공단은 예술공단과 청년공단으로 재구성하여 전주의 성장을 이끌 예정이다. 팔복예술공장, 야호예술놀이터, 예술기찻길, 금학천 생태환경 복원, 지붕 없는 미술관 등 팔복예술공단 5대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또, 오래된 팔복공단을 청년친화형 산업단지로, 공단의 기능을 새롭게 바꿀 예정이다. 이곳에 지식산업센터 등이 건립된다. </p>
<p><br></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daum.jeonju.go.kr/data/sys_webzine_list/3740062266_Bh4Qo1ZG_d39192cb1fcf972128f4862583b3bedca775a058.jpg" class="txc-image" alt="image" style="clear: none; float: none;" /></p>
<p><br></p>
<p><span style="font-size: 14pt;"><b>덕진뮤지엄밸리 조성</b></span><br>전주종합경기장에서 한국소리문화의전당, 검찰청 부지 일대는 뮤지엄밸리로 조성한다. 전주지방법원·검찰청 부지에는 문화원형 콘텐츠의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할 ‘한국문화원형 콘텐츠 체험·전시관’과 법조삼현기념관 및 법조인 명예의 전당을 건립할 계획이다.</p>
<p><br></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daum.jeonju.go.kr/data/sys_webzine_list/3740062266_Mo543WHS_bd8db4238671829f79492399a91958905f0b320c.jpg" class="txc-image" alt="image" style="clear: none; float: none;" /></p>
<p><br></p>
<p><span style="font-size: 14pt;"><b>서노송 예술촌 프로젝트</b></span><br>성매매 집결지인 ‘선미촌’내 폐공가와 성매매업소를 문화적 도시재생을 통해 ‘인권’과 ‘예술’ 공간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또, 전국 최초로 소통협력공간을 조성하며, 문화예술복합공간과 새활용 생산·유통·교육의 거점 공간인 전주시 새활용센터가 문을 열 예정이다.</p>
<p><br></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daum.jeonju.go.kr/data/sys_webzine_list/3740062266_qonF9DCY_ea1405d44a45159e6123270e54c7ebe567033d41.jpg" class="txc-image" alt="image" style="clear: none; float: none;" /></p>
<p><br></p>
<p><span style="font-size: 14pt;"><b>서학동 예술마을 조성 사업</b></span><br>2017년 도시재생 뉴딜 시범 지역으로 선정된 ‘서학동 예술마을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국비 100억 원 등 사업비 172억 원 규모의 사업이 확정되었다. 이에 따라 노후 주거지 정비, 예술테마거리 및 창작레지던시플라자 조성, 첨단안전마을 조성 사업이 본격화된다. 전주시는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서학동 예술마을에 현장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전담인력을 배치하였다.</p>
<p><br></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daum.jeonju.go.kr/data/sys_webzine_list/3740062266_VIbJ0p4h_b50e46432e1f6b6797c92afd44ecdeba5b9da5d7.jpg" class="txc-image" alt="image" style="clear: none; float: none;" /></p>
<p><br></p>
<p><span style="font-size: 14pt;"><b>전주 역세권 도시재생 뉴딜사업</b></span><br>문재인 정부의 핵심 공약사항이자 100대 국정과제로 중점 추진 중인 ‘도시재생뉴딜’사업. 그 일환으로 진행되는 이 사업은 빈 점포를 활용해 청년 창업자나 예술인들의 거점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마중길 현장지원센터가 지난 3월 중순 문을 열었다. 또, 전주시·국토부·철도관리공단·코레일이 힘을 모아 선상역사 형태로 전주역사를 신축할 계획이다.</p>
<p><br></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daum.jeonju.go.kr/data/sys_webzine_list/3740062266_e7cvmUzJ_3d431308e8280ef685102304ee2933b8e7301c5c.jpg" class="txc-image" alt="image" style="clear: none; float: none;" /></p>
<p><br></p>
<p><span style="font-size: 14pt;"><b>승암 새뜰마을 사업</b></span><br>승암 새뜰마을 조성 사업은 민관협력형 도시재생 사업으로 낙후된 마을 환경을 개선하고 거주민의 삶의 질을 높일 예정이다. 또, 승암산 자락에는 세계평화의전당이 들어선다.</p>
<p><br></p>
<p style="text-align: center;"><img src="https://daum.jeonju.go.kr/data/sys_webzine_list/3740062266_Uy0lPKJj_4ad537485fea9c1f73d857667c568a354f8accba.jpg" class="txc-image" alt="image" style="clear: none; float: none;" /></p>
<p><br></p>
<p><span style="font-size: 14pt;"><b>노송동 소규모 재생 사업</b></span><br>원도심 노후 주거지의 물리적·문화적 박탈감 해소와 주민 조직의 안정적 활동을 돕기 위해 마을공동체 거점 조성, 집수리 공작소 및 공구도서관을 운영할 계획이다. </p>
<p><br></p>
2020.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