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중호수도서관, 책과 음악이 흐르는 101미터의 문화공간 ‘주목’
- 지난 6월 25일 개관 이후 누적 방문자 약 14만 명 달성, 이용자 97% ‘만족’ 응답
- 수준 높은 음악 체험·다채로운 프로그램 운영으로 엠제트(MZ)세대의 높은 호응 이끌어
○ 지난 6월 전주시 13번째 공공도서관으로 문을 연 아중호수도서관이 호수를 조망하며 책과 만날 수 있는 독특한 경관과 더불어,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도서관에 접목한 특별한 도서관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 전주시는 ‘책과 음악이 흐르는 길’이라는 테마로 101미터 길이의 음악 특화도서관으로 운영되는 아중호수도서관이 최근 전국적으로 입소문을 타며 하루 평균 1328명의 이용자가 다녀가고, 누적 14만 명의 방문객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 특히 아중호수도서관에는 개관 4개월 만에 전국 지자체와 기관 등에서 벤치마킹을 위해 500여 명이 찾는 등 단순한 도서관을 넘어, 감성과 콘텐츠가 융합된 새로운 공공문화 모델로 주목을 받고 있다.
○ 실제로 시가 도서관 개관 4개월을 맞아 도서관 이용자 2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97%가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또, 전체 이용자의 절반에 가까운 47%가 20~30대 젊은 층이라는 조사 결과는 독서공유(텍스트힙) 열풍과 음악이라는 장르가 접목된 아중호수도서관만의 감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 방문 지역을 묻는 설문에서는 서울·경기 등 타지역에서 방문했다는 응답자가 무려 55%에 달했으며, 이 중 37%는 아중호수도서관을 여행지로 삼아 방문했다고 답해 아중호수도서관이 도서관을 넘어선 관광 자원으로써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 무엇보다 이번 조사에서는 아중호수도서관의 방문 목적을 ‘청음공간 이용’이라고 응답한 시민이 30%에 달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아중호수도서관이 ‘브리온베가’와 ‘드비알레’ 등 고품질의 스피커를 기반으로 영상과 음향을 몰입감 있게 체험할 수 있는 청음 기반과 레코드판(바이닐) 감성까지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공공부문에서 구현한 결과물로 풀이된다.
○ 뿐만 아니라 아중호수도서관에서는 음악 특화도서관답게 연중 다채로운 음악 프로그램이 펼쳐지면서 시민의 눈과 귀를 사로잡고 있다.
○ 구체적으로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음악 거리 공연인 ‘시민 참여 음악캠프’ △문학과 음악이 어우러지는 공연인 ‘호수 음악여행’ △다양한 음악 이야기를 나누는 기초 인문학 강연인 ‘음악인문학 101’ 등 현재까지 운영된 총 12회의 음악 프로그램에 시민 650여 명이 참여했다.
○ 아중호수도서관은 지역사회 중심의 공간문화 창조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주도적 역할을 인정받아 ‘2025년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 최우수상에 선정됐으며, 목구조 건축물의 친환경성·공학적 완성도 및 미적가치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2025년 대한민국 목조건축대상’에서도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들 두 상은 각각 문화체육관광부·한국건축가협회, 한국목조건축협회 등이 주관하는 공공건축·목조건축 분야의 권위 있는 포상으로, 이를 통해 아중호수도서관은 공공성·예술성·지역성을 고루 갖춘 공간으로 인정받았다.
○ 박남미 전주시 도서관평생학습본부장은 “아중호수도서관에서 책과 음악을 향유하는 것은 물론 아름다운 아중호수의 경관을 즐기며 새로운 독서 경험과 문화 체험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 “추후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판소리 등 전주만의 케이(K)-소리를 특화하여 차별화된 음악 프로그램과 이용 경험을 제공해 많은 시민이 편안하게 즐겨 찾는 도서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자료제공부서 및 문의처 : 전주시청 도서관운영과 063-281-8705
-
이전글
서학예술마을도서관, 전시 참여 예술가 공개 모집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